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임진왜란 동안 국가행정력이 어떻게 작용하였으며 통제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수령을 통해 추적함으로써 국가의 전란 대처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란기 수령의 임용실태와 업무내용을 통해 전란기 동안 작동한 국가통치력의 정도를 구체화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인 경상도 함양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주요 교통로로, 전국의 전쟁상황이 전해졌던 곳이었다. 또한 7년 전쟁 동안 다양한 전란 상황을 겪었던 곳이었다. 전쟁 상황은 함양의 유력한 양반이었던 정경운이 1592년부터 1609년까지 작성한 『고대일록』에 자세하다. 정경운은 함양 의병 활동에서 기록을 담당하였던 만큼 함양 내 전쟁상황뿐만 아니라 임금이나 관찰사 등에게서 전달된 공문서를 접할 수 있었고 해당 내용을 일기 별록에 따로 남겨놓기도 하였다. 정경운의 일기를 통해 함양 수령의 임용실태와 전란기 동안의 업무 내용을 구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함양 수령의 임용실태를 통해 전란기 동안 여전히 국가력이 수령의 임용에 작용하였고, 재임기간 역시 평상시와 비슷하게 유지되어 국가 행정 업무가 지속성을 갖고 연속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함양 수령의 전란 업무는 함양의 전란 상황과 짝하여 변화하였다. 정유재란 이전에는 일본군의 직접 침입을 피했던 만큼 함양 수령의 업무 중 민정업무는 백성들의 소송을 처리하거나 환곡을 지급하는 등의 일상업무가 계속되었다. 전란업무로는 명군에 대한 지원과 요새지인 산성을 수리하는 일을 주로 수행하였다. 특히 함양이 교통요지에 있는 탓에 명군을 맞이하여 지원하는 일이 임란 전 기간 동안 계속되었다. 아울러 의병군의 모집과 활동에도 수령이 참여하여 의병과 관군이 대치되기보다 상응하였음을 살필 수 있었다. 임란 초기에 보였던 임금의 피난, 관군의 무능, 수령의 도망 등은 마치 전쟁 기간 내내 국가의 통치력이 부재하였다는 인상을 주었다. 그러나 수령의 임용실태와 수행업무를 통해 전쟁 기간 동안 각 지역은 여전히 수령을 통해 실현된 국가 행정과 통치로 유지되고 있었음을 함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임란 이후 사회복구에 대한 활동 양상은 전쟁 기간의 활약 정도에 호응한다. 수령이 전란기 담당한 역할은 임란 후 사족에 의한 향촌질서 재편에 집중하였던 기존의 연구성과에 더해 또 다른 시각이 필요함을 보이는 단서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government dealt with Imjin war, researching how national administrative power functioned and how its power to control was managed. Ruling over people on behalf of the king, suryeong was a executioner of national administration. It is regarded that personal differences between suryeongs are more important than their differences of public posts. However we know that the institutional role to maintain the society was given to suryeong through the Joseon Dynasty. In this context, I tried to specify the national power to control in wartime, researching suryeong's appointment and work. Hamyang of Gyeongsang-do, my research target area, was a major traffic route connecting Gyeongsang-do and Jeolla-do so that the war news were informed here. Moreover, it was the place where various war events happened during 7 years of the war. These war events were detailed in 『Godae Il`lok』 written by Jeong Gyeong-woon from 1592 to 1609, who was a influential yangban of Hamyang. Jeong Gyeong-woon was in charge of documenting loyal troops activities in Hamyang so as to be able to access to official documents from the king and governors. Through Jeong Gyeong-woon' journal, we can study Hamyang suryeong's appointment and work. Researching Hamyang suryeong's appointment, we are convinced that the national power obviously controlled suryeong's appointment, and the tour of duty was maintained as usual so that national administrative works were operated stably. Hamyang suryeong's work in wartime was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war situation. Before Jeong-yu war, Hamyang avoided a direct invasion of Japanese army. In this period, civil administration among Hamyang suryeong's work continued as usual. On the other hand the wartime work was to support Ming army and to maintain mountain fortresses. Because Hamyang was very convenient at transportation, supporting Ming army continued through the Imjin war. Moreover suryeong also participated in raising loyal troops and their activity so as to make them cooperate with royal forces in harmony. In the beginning of Imjin war, the king's flee, inability of royal forces, suryeong's flee and so force seems to show the absence of government's power to control during wartime. However I became to know according to my research that in wartime regions were still controlled by government through suryeong. After Imjin war, the restoration of regional society was related with each region's activity in wartime. In final analysis, Suryeong's role in the wartime shows that we need another view point other than the one 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country districts by local aristoc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