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어 ‘종결어미’는 그 범주 명칭과 달리 문장 유형을 결정하는 정동사어미 앞에 청자존대법을 나타내는 {-습/읍-}, {-으이-}, 지각시를 나타내는 {-거-}, {-느-}, {-더-}, 화자나 청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도-}, {-오/우-} {-구-}, {-아/어-}, {-ㅅ-} 등의 선어말어미나 {-은}, {-음}, {-을} 등의 다른 어미를 통합한 단위를 나타낸다. 선어말 위치의 선어말어미나 다른 어미를 모두 분석한 다음에 정동사어미를 기준으로 국어 문장 유형을 설정해야 한다. 종결어미의 형태소 분석을 하지 않거나 청자존대법의 한두 등급만 기준으로 해 왔기 때문에 문장 유형이 다르게 설정되곤 하였다. 간접인용문의 중립등급을 포함한 청자존대법의 해라체, 합쇼체, 하소서체에서 동일한 정동사어미 {-다}, {-가}가 일정한 문장 유형을 나타낸다. 동일한 정동사어미를 분석할 수 없는 이른바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 감탄문, 허락문, 경계문 등은 문장 유형으로 설정할 수 없다. 국어 정동사어미에 의한 문장 유형은 다음 셋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첫째, 정동사어미 {-다}로 문장을 종결하는 문장 유형인데, 이것은 세계를 말로 바꾸어 단정하여 진술하고 더 이상 연결을 요구하거나 기대하지 않는 평서문이다. 둘째, 정동사어미 {-가}로 문장을 종결하는 문장 유형인데, 이것은 대답인 말의 연결을 요구하는 의문문이다. 셋째, 정동사어미 {-아}로 문장을 종결하는 문장 유형인데, 이것은 말로 세계를 바꾸기를 바라는 청자에 대한 요구문이다. 요구문의 하위 범주로 평서의 ‘-으라’나 ‘-으나’, 의문의 ‘-으냐’나 ‘-나’, 명령의 ‘-으라’, 청유의 ‘-자’, 약속의 ‘-으마’는 모두 {-아} 앞의 명사구나 동사구 그리고 다른 어미로 구별될 뿐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pecify the sentence types based on the conclusive endings in Korean. Unlike its category name, Korean final endings are units that integrate conclusive endings deciding sentence types and prefinal endings representing honorifics,tense and aspects, and participants, or other endings. After analyzing the endings indicating honorifics, tense and aspects, and participants in the prefinal position, the sentence types must be defined only according to the conclusive endings. But in other papers Korean sentence types have been defined differently on the basis of only one or two speech levels of honorifics or without analysis of final endings. Certain sentence types are presented with the conclusive ending {-da} and {-ga} in the haerache(해라체), hapsyoche(합쇼체), hasoseoche(하소서체) including the neutral level ending in quoted clauses. Commanding sentences, hortative sentences, promised sentences,exclamatory sentences, permissive sentences, and alertive sentences can not be categorized into a sentence type because certain conclusive ending is not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final endings. The following three sentence types are grouped on the basis of the conclusive endings. 1st type is a declarative sentence with ending {-da} which states the world in words. 2nd type is an interrogative sentence with endings {-ga} which demands to continue the conversation through the answers. 3rd type is a imperative sentence with ending {-a}which expects a listener to change the world by use of words. As subcategories of a imperative sentence, report ‘-eura’, ‘-euna’, question ‘-eunya’, ‘-na’, command ‘-eura’, proposal ‘-ja’, and promise ‘-euma’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final endings only because of the endings that comes before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