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論文은 韓國史學者 李丙燾(1896~1989)의 修學過程과 初期 學術活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한 것이다. 첫 번째 단계는 그가 6세에 鄕里의 書堂에서 舊式교육으로 漢學을 배우는 데에서 시작하여 서울에서 新式 교육으로 普成專門學校에서 공부하는 과정을 거쳐 20세에 일본 早稻田大學 豫科에서 광범위한 西歐的 학과목들을 수강하고 수료하는 데까지로 잡았다. 이 가운데, 구식 한학 수업은 朝鮮 儒學의 학습에까지 이어졌고, 그것이 뒷날 李丙燾史學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早稻田大學 예과에서의 修學도 그가 人文學의 기초를 닦아 서구에서 수입된 근대 사학을흡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하였다.두 번째 단계는 그가 20세에 早稻田大學 史學及社會學科에 진학하여 3년간 韓國史를 전공하고, 졸업과 동시에 中央學校 교원으로 부임하여 4년 남짓 근무하는 27세 때까지로 보았다. 그는 早稻田大學에서 批判的 연구방법을 중시하는 近代 史學을 배우고 韓國史를 전공키로 하여 한국사 졸업논문을제출했고, 평생 그를 지도할 일본인 스승을 만날 수 있었다. 그 후 中央學校 敎員 시절에는 가르치고공부하면서 한국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넓혔고, 그것을 기초로 東亞日報에 견실한 내용의 「朝鮮史槪講」을 게재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그가 韓國史學에 入門하는 것으로 정리했다.세 번째 단계는 그가 27세 때 본격적인 한국사 연구를 결심하고 이어서 朝鮮史編修會에 들어가 1년 10개월간 근무하고 31세 때 나온 후 직업 없이 專業硏究者로 연구에 열중하여 중요한 성과를 거두는 시기로 37세 때까지를 下限으로 삼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그가 韓國儒學史를 본격적 연구의대상으로 삼은 것은 지난 날 舊式의 漢學을 修學해 儒學에 깊은 소양을 지닌 때문임을 중요시하였고,朝鮮史編修會의 짧은 근무 기간은 그가 많은 일본인 학자를 만나 연구에 자극을 받았고, 韓國儒學史와 地理圖讖에 대한 그의 학술논문이 처음 발표되었으며, 다시금 韓國古代史를 연구대상으로 삼기로 했다는 점에서 결정적 중요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그리고 朝鮮史編修會 근무시절과 그 이후에 걸친啓蒙史學 계열의 한국인 선배 학자들과의 交遊, 會同은 그의 학문적 성장에 큰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한 것이었다. 그 후 두계는 새롭게 본격적 古代史 연구를 시작해 크게 주목받으면서 그것과 韓國儒學史, 地理圖讖를 아우르는 三分野의 연구를 꾸준히 지속시켜 나갔고, 내용상 충실하고신선한 연구업적의 축적은 그를 촉망받는 중견학자로 성장시켰던 것이다.


This paper contemplates on the scholarly disciplines and early research activities of Yi Byeong-do, a Korean history scholar, in three different phase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first phase starts from his having an old fashioned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at a sŏdang,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his hometown at the age of 6. It also covers his having a modern education at Bosŏng junior college in Seoul, and taking various western subjects and thereby finishing the preparatory course in Waseda university at the age of 20. The second phase starts from his entering the department of history and sociology in Waseda university and majoring in Korean history for 3 years. It ends at his age of 27,when he had been teaching over 4 years at Choongang School since right after graduation. The third phase starts from his decision to study Korean history in earnest at the age of 27. After some time he worked for about 2 years in the bureau of compiling Korean history. Then he left the bureau and began to study hard as a full-time disemployed researcher. This phase ends at his age of 37 when he had been obtaining important results. These phased contemplations reveal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 confucianism of the Chosun dynasty with the old fashioned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first phase, in that this formed the foundation of his study of Korean history afterwards. The second phas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he learned modern history and wrote a graduation thesis on Korean history in Waseda university, along with meeting a Japanese teacher. In the third phase, a high value was placed on that he was stimulated by many Japanese scholars in the bureau of compiling Korean history and that he published papers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nd geomancy for the first time, and that he selected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as another research topic. In the disemployed period,he pursued researches on 3 fields ―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geomancy,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 simultaneously and made great achievement, thereby grew as a promising scho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