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근대국어 시기의 문헌을 한학서, 왜학서, 어제서 등으로 나누어 각 부류별 문헌에 나타나는 ㄷ구개음화와 양순음 뒤 ‘ㅡ>ㅜ’ 원순모음화 관련 예들을 계량화하여 이들 음운변화의 과정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학서, 왜학서, 어제서가 각각 음운변화의 과정을 보여줄 수 있는 동질적인 부류의 문헌들인지를 검토하였다. ㄷ구개음화는 한학서, 왜학서, 어제서 모두 S자 모양의 패턴을 보이며 확산되었다. ㄷ구개음화가 일어나는 초기에는 구개음화된 변이형의 사용 비율이 매우 미미한 상태이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급격하게 확산되는 S자 모양의 변화 패턴을 보여준다. ‘ㅡ>ㅜ’ 원순모음화의 경우에도 한학서에서는 초기에 서서히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일정 시기에 이르면 다시 낮아지는 변화의 패턴을 보이고 왜학서는 한학서의 구개음화와 유사한 S자 모양의 변화 패턴을 보이지만 어제서는 일정한 패턴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한학서와 왜학서는 각각 동질적인 언어 사용의 부류로 간주되지만, 어제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질적인 성격을 갖는 문헌들로 간주된다. 음운변화의 과정은 변화하기 이전의 변이형과 변화한 변이형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자면 음운변화는 변화 이전의 변이형을 변화 이후의 새 변이형으로 바꾸어 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ㄷ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에서 드러나는 변화의 과정은 변화형의 사용이 일정 시점에 이르러 급격하게 확산되어 100%로 나아가는 변화 패턴(S자 변화 곡선)과 점차 확산되다가 일정 시점에서 다시 축소되거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classified the books in modern Korean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Chinese textbooks(CT), Japanese textbooks(JT) and the Royal documents written in Korean(RD), and then examined th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change of the t-palatalization and the vowel rounding (‘ɨ>u’) after the bilabial sounds, which was found in each category. The palatalization showed a consistent pattern in CT, JT and RD and was spread.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palatalization, at first, the percentage of the usage of the palatalized variation was low but a certain period of time later, the percentage of the usage of it rapidly increased and the pattern of this increase looked like S-shape. However, the usage of the vowel rounding showed clear distinction depending on each category. The usage of the vowel rounding in CT increased at fist and later it conversely decreased while the usage of the vowel rounding in JT showed the S-shape pattern as the same as the pattern of the palatalization. However, in the RD, it was difficult to find a pattern of the usage of the vowel rounding because the usage of the vowel rounding was diverse depending on each book.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se phonological changes is that the allophone before the phonological changing coexists with the allophone after the phonological change, when the phonological change is ongoing. Thus, it is said that the phonological change is the process of change from the allophone before the phonological change to the allophone after the phonological change. In the process of change, speakers become the protagonist who internalizes a rule which causes the phonological change and decides whether or not he/she would use the allophone which is applied by a phonological r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