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필자는 外王內帝의 이중 체제가 전형적으로 운영된 前근대 베트남과의 비교를 통해, 고려전기에는 외왕내제와 구별되는 별도 유형의 이중 체제가 운행되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원 간섭 이전의 고려와 중국으로부터 독립 이후의 베트남은 공히 중국 왕조와 군신 관계인 책봉-조공 관계를 맺었고, 국왕(국가)의 대외적 위상은 시종일관 제후(국)였다. 하지만 중국 황제의 제후(국)라는 위상은 대외 방면에 한해 의미가 있을 따름이어서, 대외 위상에 상응하는 제후국 체제는 양국 내에서 결코 성립․운용된 적이 없었다. 양국 모두에서 대외와 대내 방면의 체제가 상이한 이중 체제가 운용된 것이다. 그런데 원 간섭 이전의 고려와 중국으로부터 독립 이후의 베트남에서 운영된 이중 체제의 구체적인 모습은 상이하였다. 베트남 국내에서는 명실상부한 황제국 체제가 운영되면서 소위 外王內帝의 이중 체제가 성립․운용되었다. 이와 달리 원 간섭 이전의 고려 국내에서는 황제국 체제와 제후국 체제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되지 않은 ‘독특한’ 체제가 작동되었다. 이러한 체제를 정확히 명명하기는 곤란하지만 그것이 대외적 위상에 부합하지 않은 사실만은 분명하기에, 고려에서 또한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이중 체제가 성립․운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베트남에서는 ‘稱臣’을 하면서도 국내에서 황제로 칭해지는 군주의 권위 손상을 우려하여 변칙을 동원하여 ‘칭신’의 의미를 ‘국내’라는 공간에서 퇴색시키는 여러 방법들을 강구․시행하곤 하였다. 이에 비해 고려에서는 ‘칭신’에 따른 군주 권위의 손상이 국가의 고심꺼리로 부상하지 않아 ‘칭신’을 비틀고자 하는 시도가 보이지 않았다. 달리 말해, ‘외왕’이 철저하게 이루어졌다. 향후에는 이러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고려적인 이중 체제가 베트남에서의 의식세계와 달리 어떠한 인식적 기반에서 운영되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premodern Vietnamese case of practicing the “Feudal Exterior/Imperial Interior” doctrine(外王內帝), which could be labelled as a typical case of observing such doctrine. The objective of such observation is to launc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Vietnamese and Goryeo cases, which would help us determine a sort of distinction between the cases of those two countries, of which the latter seems to have adhered to another variation of this particular doctrine during the first half of its existence. Goryeo, before the days of Yuan imperial intervention, and Vietnam after its liberation from China, both maintained a tributary-appointment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court, which was a master-feudal lord kind of relationship, in which the state and king were defined as entities harboring the status of a ‘vassal of the emperor.’ Such definition of their relationships with China was only effective in diplomatic protocols, so both Goryeo and Vietnam never practiced such custom in their domestic governing. In that regard, one could say that both countries maintained a ‘dual system,’ in which different sets of protocols were used in outward and inward representations of their countries. But still,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dual systems.’ The inside of the Vietnamese court was operated strictly as an ‘imperial court,’ as it remained more true to the spirit of the “Feudal Exterior/Imperial Interior” doctrine. But pre-Yuan Goryeo court observed its internal system in a manner that could not be quite labelled as either ‘imperial’ or ‘feudal’ in nature. It was rather unique, and was still different from the exterior protocols it chose to observe. So one could still say that Goryeo as well maintained a ‘dual system,’ just as Vietnam did, but in a different fashion. The Vietnamese government constantly tried to downplay the notion of the Vietnamese leader being the vassal of the Chinese emperor(‘稱臣’), as they feared open acknowledgement of such notion would hurt the king’s image inside the country. On the other hand, Goryeo was not bothered by such possibility and did virtually nothing to minimize such appearance. In future studies, on what ground such Goryeo-style dual system was run should be more exam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