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근대 국민국가 형성과정에서의 번역의 역할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기 외국문학의 번역 및 연구에 주력했던 ‘해외문학파’의 의식과 활동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외문학파가 서구문명이라는 내용성을 일방적으로 추수했다는 점에서 식민성의 혐의를 벗을 수는 없지만, 그들이 제국의 언어인 일본어가 ‘국어’로 제도화된 상황 속에서도 조선어로서 번역하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견지한 점은 언어 내셔널리즘의 한 증좌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해외문학파를 재조명하는 작업은 그들의 정체성이 근대가 구성한 이분법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혹은 그것을 더욱 공고화하는 번역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사실 민족주의 계열이나 카프의 프로문학 진영은 모두 문학의 내셔널리즘을 공공연히 표방해 왔다. 이들을 주류로 하는 당대 조선문단이 해외문학파를 배타시한 표면적인 이유는 무엇보다 그들이 내셔널리티를 삭제하고 있다는 혐의 때문이었다. 어쩌면 해외문학파를 전방위로 공격했던 담론의 이면에는, 서구 문학에 대한 선망과 그 모방의 욕망을 서슴없이 천명했던 해외문학파의 투명성에 대한 당혹감과 거부감이 작동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해외문학파의 정체성 혹은 존재 의미를 둘러싸고 안팎에서 전개된 담론들은, 오히려 문학의 내셔널리티가 기만적인 은폐와 자의적인 배제 속에서 구성되는 실상을 적나라하게 반증하는 것이다. 그런 점을 고려할 때, 해외문학파가 식민지 근대문학의 모더니티를 획득하는 중요한 방법으로써 외국문학의 직접 번역․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더불어 번역의 과정에서 문명의 이입과 조선어에 대한 근대적 의식을 획득한 것은 재평가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nsciousness and activity of Heawoimunhakpa('Foreign literature' group) which concentrated on translation of foreign literatures in the colonized Korea, considering roles of translation in modern nation-state building. Although Heawoimunhakpa were suspicious of coloniality in respect that they pursued blindly content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they proclaimed importances of translation into Korean when Japanese as imperial language placed at position of 'national language', which can suggest a model of lingual nationalism. To rethink the group is very meaningful in sense that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relates to translation which put a bar across boundary of dichotomy constructed in modern times, or more firm it. In fact, all of the nationalist or the proletarian literary group of KAPF had proclaimed openly nationalism of literature, and they had been mainstream in the literary world of Chosun in that times. The reason why, in that times, the literary world excluded Heawoimunhakpa is that they seemed to erase nationality as Korean. It is held that aggressive discourses on them show embarrassment and rejection of transparency of which unhesitatingly declared envy and desire for acceptation of the western literature, which proves that nationality of literature is formed in deceptive concealment and intentional exclusion of the other identity. Considering this point, Heawoimunhakpa recognized necessity of translation and investigation of foreign literature as chief method to acquire modernity of the colonial modern literature, and tried to recognize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to gain modern consciousness of Korean through translating, which I think must be reestimated in respect of interrelation of translation and nationality i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