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950년대 대학에서의 인문학 편제를 대학생과 대학문화를 중심으로 고찰하기 위해 첫째, 1959년 연희대, 서울대, 이화여대의 교양 과목 편제를 분석하고, 둘째,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통해 실제로 향유하고 형성해 나갔던 ‘교양문화’의 실상을 해명하기 위해 연희대가 발행한 <연희춘추/연세춘추> 1호(53.6.15)-231(60.12.10)호를 주요 대상으로, 서울대에서 발행된 <대학신문>(1952~1960)을 비교 자료로 선택하여 분석했다. 연희대, 서울대, 이화여대에 편제된 교양과목에는 문학 텍스트의 이해와 글쓰기, 외국어 소통 능력, 논리와 사고, 윤리 등의 인문적 소양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고, 이수 학점도 가장 높았다. 연희대의 경우에는 일반교양의 성격이 강했으며, 서울대와 이화여대는 전공 진입을 위한 기초 교양의 성격이 고려되었다. 대학에서의 교양 교육 편제는 학점을 이수하고 평가를 받는 제도화된 ‘지식’의 체계로 존재했지만, ‘인격’이나 ‘품성’, ‘미적 감수성’ 차원의 교양을 함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없었다. 학점의 그물망을 벗어난 교양의 영역은 학생들이 활동으로서의 대학 문화(동아리, 정치적 발언 및 사회 참여, 문화생활 등)를 통해 생활적으로 채워나갔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이를 지식과 정보 차원의 교양 ‘知’로 섭렵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으며 사회의 실천적 교섭을 학적 분석의 대상으로 ‘거리화’하는 태도를 견지했다. <연희춘추/연세춘추>와 <대학신문>에는 교수들의 추천도서가 교양 입문서의 역할을 했는데, ‘고전’과 ‘강의교재’가 중심이 되었으며 특히 ‘고전’의 추천도가 높았다. 대학신문에 기고한 교수의 추천 도서나 교수의 글에 인용된 논문과 서적은 전교생의 교양으로 간주되었고, 교수의 학문에 대한 태도, 삶의 방식, 글쓰기 방법, 인용 서적 등도 일종의 권위를 지닌 지적 자산으로 수용되었다. 당시의 학회는 오늘날과 달리 학생과 교수가 회원으로 공존해 있었고, 학회지에 실린 학술 논문의 형식도 오늘날과 달리 각주나 참고문헌의 비중이 높지 않았다. 학회의 설립 및 학회 활동에 비해 학회지는 뒤늦게 발간되었는데, <연희춘추/연세춘추>는 학회 활동의 내용들을 소개함으로써 교수-학회-학생을 이어주고 강연과 독서를 매개하는 학문적 공론장으로서의 매체적 기능을 담보했다. 전공별 학회지의 발간이 활성화되지 않았던 1950년대에 대학신문은 전공의 전문성을 갖춘 정보지로서의 역할을 지니고 있었다. 해당 기간 동안 <연희춘추/연세춘추>에 게재된 학술적 글쓰기는 총 184편으로 그중 94%가 본교 교수의 글이며, 그 중에 41%가 문과대학 교수의 글이다. 대학생/대학원생의 학술적 글쓰기는 총 111편으로, 교수가 기고한 글의 60%에 해당하며, 문과대 학생의 기고율이 50%를 선회한다. 교양과목 편제와 학술적 글쓰기에서 인문학, 특히 문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대학생들은 대학신문에 게재된 논문과 서평 형식의 학술적 글쓰기를 통해 학문적 대상, 논의 주제, 글쓰기 양식 등에 관해 섭렵할 수 있었고, 대학신문은 취미로서의 독서와는 구분되는 전문적/학술적 ‘읽기 방법론’을 전파하는 학적 장으로서 기능했다.


This paper analyzed the Humanities class program in 1950s’ universities; the first analysing the organization on the liberal arts courses of Yonhi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wha Womens University, the second analysing university newspapers like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and The Daehak Shinmoon published the same period. The liberal arts courses of Yonhi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wha Womens University were composed of several Humanities classes; understanding literature, academic writing, foreign language, logic and thinking and ethics. Yonhi University showed strong points in the subjects for general education, and the other university lik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wha Womens University showed highly considering on the foundation course for preparation of learning subjects of special studies. The organization on the liberal arts courses of university existed as a form of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system, completing all the required courses in cultural studies. However there weren’t any systematized devices to develop students’ character and personality, and cultivate their own aesthetic sensitivity in their university life in the level of daily life. The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strong desire to elaborate their own university culture outside the university credit; university club, political statemen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njoyment of civilized life like music, fine art, film and sports. There were contributed lots of articles on the recommended books by professors in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and The Daehak Shinmoon; classics and class textbooks. Such books were regarded as cultural contents should be read by all the university students and had a influential power towards them in the direction of way of life, attitude to studies, writing form as authoritative intellectual resources. The membership of academic societies were composed of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contrary to contemporary during 1950s, and the form of papers were contributed those journals were different from contemporary style; putting in footnotes, appendixing bibliography, etc. Such academic journals were published later than opening the academic societies, so university papers had practical roles as academic journals which contributing articles on the scientific lecture. According to the statistic analysis, the academic writings contributed the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were 184 units from No.l.(1953.6.15) to No.231(1960.12.10); amongst 94% were professors’ and amongst 41% were the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ll the numbers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riting, contributed in those university papers, were 111 units, nearly 50% were of the college of liberal arts. In conclusion, the university papers published in 1950s’ had a academic and culture roles surrounding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academic journal, cultural media to share professors’ scientific research and students’ own university life outside university like art, politics and social activity, etc, with a academic view point and distant to reflect their own activities and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