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과 영화 <빌리지>와의 비교를 통해보드리야르가 시뮬라시옹에서 말한 실재보다 더 실재처럼 보이는 파생실재(Hyperreal)가 실재를 지배하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 두 작품은모두 마을의 질서와 권력 유지를 위해 가상의 적을 만들어 공포감을 조성하는 줄거리를 지녔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시뮬라크르와 권력 유지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보드리야르는 워터게이트 스캔들을통해 미국사회의 정의감과 자유민주주의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뮬라크르가 있다는 것과 핵이 주는 공포가 실재가 아닌 시뮬라크르라는것 등을 분석해 놓았다. 다음으로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과 영화 <빌리지>에 나타나는 시뮬라크르의 유사성을 살펴보았다. 시뮬라크르는 내부적 요인에 의해 내파될 수밖에 없는데, 시뮬라크르 제작자들은 시뮬라크르를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내파를 저지하게 된다. <파수꾼>과 <빌리지>는 내파와 저지 과정에서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인다. <파수꾼>은 이리떼가 나타난다는 것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게 된 주인공 ‘파수꾼 다’가 촌장에게 설복당해 마을을 질서와 평화 유지를 위해 여전히 가상의 적인 이리떼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고하는 일을 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시뮬라크르가 유지되는 결말로 끝맺는다. 그러나 영화 <빌리지>에서는 숲 밖을 나가지 못하도록 숲에 괴물이 산다는 시뮬라크르가형성되었지만, 눈먼 소녀가 마을을 탈출하여 약을 가져옴으로써 마을의원로와 어른들이 반성하는 계기가 되어, 시뮬라크르 유지를 포기하는 해결로 끝맺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글은 이들 두 작품에서 어떻게 시뮬라크르를 활용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서사론적 측면에서 등장인물의 기능과 서사구조로 시뮬라크르양상에 접근하였다. 우선 <파수꾼>과 <빌리지>의 등장인물을 시뮬라크르 제작자, 수용자, 폭로자로 구분하여 이들 인물의 기능을 살폈다. 또한 서사구조적 특성을 밝혀 시뮬라크르가 어떻게 형성되며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그동안 한국문학연구에 있어 제목이나 목차에 시뮬라크르양상에 대해 접근한 논문을 찾기 어렵고, 특히 정치적 권모술수를 희화화한 희곡 <파수꾼>에 적용함으로써 작품을 새롭게 해석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희곡 <파수꾼>이나 영화 <빌리지>를 시뮬라크르 양상으로연구한 논문이 전무하기에 시뮬라크르 적용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고 할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henomenon that Hyperreal is much more real and predominant, said Bourdrillard in Simulation, through film ‘The Village’and the play ‘The Watchers’ written by Lee Kang Baek. Both works have common ground that fears by using hypothetical enemy inspire terror to keep village’s order and power. At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how simulacre related with maintaining of power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In U.S.A.,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simulacre that impair U.S.A.’s liberal democracy. Next, this study looked on the similarity of simulacre on the play ‘The Watchers’ by Lee Kang Beak and the film ‘The village’. Both works’ Plot and story is considerably similar but their visions of the conclusion are different. Simulation must have implosion because of the inner factors,simulation producer makes let it down for keeping its simulation. ‘The Watchers’ and ‘The village’ have little difference aspects in the process of deterrence strategy. In ‘The Watchers’, main character ‘Watcher Da(No.3)’ is persuaded village-head into decide to work for report the alarm about herd of unreal herd of wolves for village’s peace Then simulacre is kept going on. Film ‘The Village’, however, blind girl flees from the village and finally gets medicine. So, grown-ups and old men in the village reflected themselves and gave up their simulacre. In order to look around how these works put to use ‘simulacre’, this study accessed the phenomenon by function of the character’s structure and narrative’s aspect. Above all, characters on ‘The Watchers’ and ‘The Village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 Some are in the simulacre producer’s group and the other are in the group that cheated by simulacre. This study also considers how simulacre is formed and what meaning that it has by revealing the figures of narrative structure. This thesis widened the field of study of simulacre because there is few paper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simulcre about the play ‘The Watchers’ and the film ‘The vil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