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병주 초기 소설은 1940년대 일제 말기 제국주의 전시 체제의 식민지시기와 해방 정국 그리고 60년대 군부 독재 시기를 대상으로 자유주의 지식인의 운명과 그 의미를 천착하고 있다. 식민지 일제 말기에 있어서 제국주의 권력의 통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조선인들의 삶을 포획하고 그에특정한 형식을 부여했던 장치는 ‘치안, 고쿠고(國語), 이름(창씨개명), 전쟁(징병 및 징용)이었다. 해방 정국은 극단적인 이분법적 선택을 강요하는좌우익의 대립이 낳은 정치적 슬로건과 집회,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강압적 선택이었다. 5ㆍ16 군사 쿠데타 후 6,70년대는 반공 이데올로기와 천민자본주의가 결탁되어 작동한다. 본 논문은 <소설 알렉산드리아>를 비롯하여 <마술사>, <예낭풍물지>, <변명> 등 1960년대에서 70년대 초기까지 이병주의 소설들을 대상으로 하여 장치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자유주의 지식인의 운명이 한국현대사에서 어떻게 되었으며 그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그들의 삶이 가지는 과거와 현재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병주에게 자유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며 그의 글쓰기의 원천 및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에게 자유는 곧 개인주의를 의미한다. 질곡의 역사를 지닌 한국 사회에서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자들이 어떤 희생을 겪으며 살아왔는지에 대해 이병주는 다른 방법이 아닌 소설로써 드러내고자 했다라는 사실은 그 역시 자유주의자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식민지와 전쟁 체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이라는 실제성 곧 리얼리티와 함께 그의 소설 전반에 나타나는 환상적 낭만성의 혼종은 닫힌 사회와 그 안에서 사회적 개인으로서 역할과 의무를 다하면서 진정한 자유를 추구하는 개인주의자의 관념이 빚어내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소설이 지닌역사성 곧 실제성과 낭만적 관념의 개인은 충돌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지금 현재의 억압적 상황과 그러한 상황을 회피하지 않고 자유주의자로서 한 개인의 삶이 오히려 보장되고 그러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낭만적 자유주의자의 관념, 의지가 내포와 외연을 이룸으로써 한국사회의 상황과 거대한 역사적 사건 속에서 희생당하고 억압당하며 소외되어온 개인이 대비적으로 선명하게 부각되고 있다.


Lee Byung-joo’s early novels inquired into the destiny and meaning of liberalistic intellectuals during the imperialistic war footing at the end of Japanese rule during the 1940s,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liberation, and th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 during the 1960s.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some devices that captured the lives of the Joseon people and endowed specific forms matching their lives which enabled the rule of imperialistic power included ‘public security, gokugo (國語), name (forced name change system), and war (draft and conscription).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liberation faced the forcible selection of the political slogan,rally, and ideology generated b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wing and the right wing, which forced the extreme dichotomic selection. In the 1960s and 1970s after the 5.16 military coup, an anti-communistic ideology combined with pariah capitalism, and worked together. This paper aims at Lee Byung-joo’s novels throughout the 1960s to the early 1970s, such as <Magician>, <Yenang Pungmulji>, and <Excuse>beginning from <Novel Alexandria>, and to look into how the destiny of liberalistic intellectuals changed in modern Korean history, what its meaning was, and the past and present meaning of their lives using the concept, namely the device. To Lee Byung-joo, the concept of freedom is very important, and this may be the origin and subject of his writing. To him, freedom equals individualism. In Korean society, which has a history of ordeals, Lee Byung -joo tried to reveal what kind of sacrifice liberalistic individualists had experienced in a form no other than as a novel. This is because he was also liberalist. The hybridism of actuality that it is a concrete historical fact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 of colony and war, namely reality, and fantastic romance shown throughout his novels may be the result created by a closed society and by the notion of an individualist who pursues true freedom while being fully faithful to his/her role and duty as a social individual in that society. Historicity in his novel, that is, actuality, and an individual with a romantic notion do not conflict. The current suppressive situation and the notion and will of a romantic liberalist who dreams of a society in which the life of an individual is rather secured and that such a life may be enjoyed as a liberalist without avoiding such a situation forms connotation and denotation. In this way, there is highlighted the clear contrast between the situation in Korean society and an individual who has been sacrificed, suppressed, and isolated in huge historical inc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