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미셸 푸코의 마지막 저작 <자기의 테크놀로지>의 문제의식인 ‘내가 나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토대는 무엇인가?’를 공유하여, 자기정체성 서술의 장르적 결정체인 ‘자서전’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독서를 통해 형성된 근대적 자서전의 개념과 감각을 살펴보고자 했다. 식민지 조선에서 독자들은 수입 혹은 번역된 서양 자서전을 독서하며 자서전의 내용과 형식, 필자의 자격과 태도를 모방했거나 이를 무의식적으로 학습했다. 따라서 20세기 이후 한국의 자서전 장르는 서양의 자서전 장르를 독서한 이후 이를 모델로 하여 재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 자서전을독서하고 집필한 개인적 경험은 집단적으로 축적되었고 이는 일본으로부터의 해방 직후 많은 수의 자서전이 출판될 수 있었던 토대를 마련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1)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은 자서전에 대해 어떻게생각했는가? (2)그들의 자서전 개념에 영향을 미친 영어나 일본어 자서전은 무엇이 있었고 이들로부터 어떤 특성을 찾을 수 있는가? (3)식민지 조선에서 조선어로 수 차례 번역되며 적극적으로 독서되었던 자서전은 무엇이 있었고 이들은 일본의 식민지라는 정치적 상황과 미국 선교사들의교육, 그리고 자본주의 체제 하의 입신출세 욕망과 어떻게 결합되어 있었는가에 관해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무엇이 자서전으로서 존재했고, 실제로 무엇이 읽혔으며, 그들은 어떤 독후 반응을 보였고, 그 결과 이후 자신에 관한 어떤 자서전을 쓰게 되었는지에 도달하는 경로를 추적하고자했다. 자서전과 관련된 당시의 담론들을 살펴보면, 자서전이란 기본적으로자신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서술하는 장르이므로 ‘작가’, ‘지식인’, ‘민족의 지도자’, ‘스타’, ‘일반인’ 등 필자에 따라서 다른 목적을 띠게 되고 다른평가를 받게 된다. 또한 자서전은 독자의 기대지평과 필자의 발화욕망, 그리고 출판사의 의도 사이의 역동적 관계 속에서 제작, 유통, 소비, 비평되었으며 따라서 인정투쟁을 기반으로 한 정치적, 사회적 텍스트로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a theme from Technologies of the Self, the last work of Michel Foucault: What is the basis for finding one’s identity? To address this question, the study examined autobiographies, as this is a genre that narrates self-identity. In particular,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sense of the modern autobiography formed by reading such works.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readers imitated the content, format, qualifications, or attitude of authors, or learned them unconsciously, while reading autobiographies translated into Korean or imported from Western countries. Therefore, it is fair to say that the genre of autobiography in twentieth-century Korea was modeled after Western autobiographies. The collective experience of reading and writing autobiographies accumulated and laid a foundation for the mass publication of autobiographies immediately following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main body of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1) how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ought about autobiographies; (2) how certain autobiographies written in Japanese or English affected the concept of autobiography; (3) and how autobiographies frequently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ad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under Japanese rule were link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the education provided by missionaries, and the desire to succeed in a capitalistic economy. In the process, the study traced the progress of the genre during this period by examining what existed as autobiographies, which ones were actually read, what responses they received, and what autobiographies were written after existing ones were read. Based on discourse related to autobiographies during that time, the autobiography can basically be described as a genre that actively describes self-identity. Thus, depending on the kind of author (e.g., a writer,intellectual, national leader, star, or ordinary person), there exist different purposes in writing, as well as different evaluations of, such works. Autobiographies were published, distributed, consumed, and criticized with dynamic interactions among readers’ expectations, the desire of authors to speak, and publishers’ intentions. Therefore, autobiographies can be interpreted as political and social texts based o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