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70년대 이후 논픽션, 수기, 르포 등의 저널리즘 글쓰기는 대중 독자의 수용을 통해 문학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저널리즘 글쓰기는 새로운 글쓰기 주체와 공동체의 정체성을 구성하기 위해서 문학 양식을 적극 활용했다. 『국토와 민중』이 문학양식으로써 민중과 국토를 발견한 것과 같이 노동자 글쓰기도 노동자 주체와 노동의 의미를 확증하기 위해 운동으로서의 글쓰기를 확대해 나갔다. 1980년대 초 하층민의 문제도 이처럼 글쓰기의 차원에서 펼쳐졌다. 노동자, 농민으로 계층화되지 않는 하층민은 특수성은 고유한 언어와 문학적 양식을 통해 서사를 이루었으며, 하층민 정체성에 부합하는 양식화를 시도한다. 이동철의 『꼬방동네 사람들』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하층민 서사의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양식과 문체의 실험을 통해 주변부 문학의 가능성을 실증했다. 하층민 서사가 거듭되면서 화자는 하층민을 대상화하며 주체와 대상과의 거리를 확대시켰다. 그 결과 『오과부』의 양식은 소설에 근접했으며, 주변부 양식으로서 하층민 서사의 역동성은 약화된다. 구술적 글쓰기가 장편 서사로 전환되자 화자의 위치는 대상과 분리되었다. 그러나 『목동 아줌마』의 경우 거리를 둔 위치에서도 하층민 서사의 양식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했다. 목동아줌마라는 시점을 유지하면서 하층민의 능동적인 리터러시[literacy]를 확인하며 하층민이 문학적 주체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하층민의 리터러시로 인해 하층민의 다기한 발화들은 하나의 주제 하에서 긴밀하게 배열된다. 하층민 서사를 통제하는 문학적 화자는 르포소설의 근거였다. 유재순의 르포소설은 소설을 표방하면서도 르포의 효과를 적극 활용했다. 논픽션을 소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르포의 사실성과 소설의 상상력은 결합할 수 있었다. 이는 『난지도 사람들』에서 시도되었지만 화자와 대상과의 거리에 매몰되는 한계를 노출하기도 했다. 『여왕벌』에서 보듯, 대상의 특이성과 이를 서술하는 화자의 존재가 강조될 경우 저널리즘 글쓰기의 역동적인 양식적 시도들은 미완인 채로 남았다.


The Increase of public readers and popular media drove the increase of novels and journalistic writings for both of them. In the course of modernity of literature, novels and journalistic writings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The Journalistic writing is a meaningful genre which was generated for the reality and the perspective in the relation of literature and journalism. At the Korean circumstance of 1970s' writings and literature, nonfiction was a leading genre among the journalistic writings. Specially writings on urban subaltern had effects each other and showed a possibility of new style of writings. In 1980’s, many reportages, reportage fictions followed the success of Sons of Darkness(『어둠의 자식들』) which is the first reportage for the narrative of the subaltern in 1970’s. People in a slum(『꼬방동네 사람들』), Five widows(『오과부』), A woman in Mokdong(『목동아줌마』) by Yi, Dong Cheol(이동철), and People in Nanjido(『난지도 사람들』), The Queen Bee(『여왕벌』) by Yu, Jae Sun(유재순) are the most popular narrative of the subaltern. The former is one of the journalistic writings forms, not fiction. But the style is very tough and disorderly, because that works based on the real experiences of writer. He regarded himself as a member of the slum town, and took the consciousness of the subalternity. But when the narrative was going on, the speaker of the narrative became more distant from the objet,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subalternity was weakened gradually. But A woman in Mokdong(『목동아줌마』) showed the possibility of the peripheral form by verifying the conditions of the subaltern’s utterance and active literacy of the subaltern. People in Nanjido(『난지도 사람들』), Yu, Jae Sun’s works are reportage fictions, or journalistic fictions. But subject matter of her fictions came from her experiences which similar to the journalistic writings. She wrote the fiction for the subaltern in Nanjido, a sanitary landfill. But her works did not make the reality of the subaltern as Yi, Dong Cheol did. Her works just emphasized the existence of a female reportage writer, because female reportage writer was few in 1980s, and existence of a female reportage writer could be in the spotlight. Her works tried a combination of journalistic reality and fictional imaginations, but the result was not inspiring.


키워드열기/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