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 시문학을 펼쳐보면 이들의 시가 무엇을 시적 대상으로 하든 한결같이 디아스포라의 시각에서 세상만물을 바라보고 한민족이란 민족정체성의식에 귀결시킨다. 뿌리 찾기 작업이라 하겠다. 민족의 뿌리를 찾고, 민족의 혼을 부활시키고 민족정신을 재구축하고자는 조선족 시인들의 민족정체성의식이 이들 시 전반에 관통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개혁개방 이후의 시문학을 중심으로, 조선족 시문학에서 민족정체성의식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백두산, 아리랑, 도라지, 흰색, 전통문화를 통해 표현된 뿌리 찾기만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백두산은 민족의 성산, 조선족들이 민족적 자부심과 사명감을 지켜갈 수 있는 힘의 원천이었다. 그래서 백두산은 더더욱 조선족 시인들의 시적 대상이 되어 수많은 아름다운 시편들을 만들어냈다. 아리랑은 한민족의 가장 대표적인 전통 민요로서 한민족의 한 상징이다. 이민사 150여 년간 조선족들은 슬프거나 기쁘거나 언제 어디서나 아리랑을 부르며 망향의 한을 달래고 민족정체성의식을 자각하고 민족적 동질성을 지켜왔다. 조선족 시인들은 흔히 “도라지”, “민들레”, “진달래” 등 우리 민족의 삶과 정서를 대변해주는 식물을 시적 대상으로 선조와의 혈연관계 또는 이주민족으로서의 조선족의 삶과 정체성을 상징하고 있다. 조선족 시인들은 흰색ㆍ흰옷을 한민족 내지 민족정신의 한 상징으로 표현하면서 흰색 이미지를 통해 백의민족의 순결과 청정, 도의를 생명으로 아는 민족의 얼, 정신을 노래함으로써 민족적 자부심을 표출하고 자신이 백의민족의 후예임을 강조한다. 이외에도 고향을 시적 대상이나 소재로 망향의 한과 애절한 향수의식을 노래한 시, 조선족공동체의 상징인 연변을 시적 대상이나 소재로 한 시, 이주민의 상징으로 두만강을 노래한 시, 남북통일의 염원을 주제로 한 시, 고국산천을 노래한 시도 상당수이다. 그 중 남영전의 토템 관련 시 42수, 석화의 「연변」연작시 31수, 김창영 「서탑」 연작시 99수는 디아스포라로서의 조선족의 정체성의식을 가장 전형적으로 보여준 대표작들이라 할 수 있다.


Almost all the poetries belong to Korean ethnic group, published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view the world from the Diaspora perspective, and attribute to Korean ethnic identity, no matter what kind of poetic object they present. So called "in search of root". Sense of ethnic identity, searching for ethnic root, reviving the soul of the group, and reconstructing national spirit, appear in almost all the poetries. In this thesis, I studied how the ethnic identity presented in poetries published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focusing on "root-searching" though the traditional culture code, such as Baekdusan, Arirang, balloon flower roots and color of white, etc. Baekdusan is the holy mountain of ethnic Koreans and the resources of strength to maintain people's sense of pride and duty. That is why Baekdusan became poetic object of many beautiful poetries. Arirang is the typical traditional song, the symbol of the ethnic group. In the past 150 years' history of migration, Korean ethnic people have been singing the song no matter they are sad or happy, whereever they are, soothing homesickness, reminding the sense of ethnic identity and forming the ethnic homogeneity. Most of the poets chose plants which represent the life and emotion of ethnic people as poetic objects, such as balloon flower roots, dandelion and azalea, to symbolize the life and identity of migrated people. Korean ethnic poets articulate the white color or white clothes as symbols of Korean ethnic group, or even national spirit, and eulogize the national spirit of considering purity, cleanness and morality as necessities of life, to express the national pride and emphasize they are descendants of white-clothes nation. Besides, there are a huge number of poetries which use hometown as poetic objects to express homesickness and the sense of nostalgia, or use Yeon Byeon, the place stands for ethnic Korean community as objects, or eulogize Duman River symbolizing migrations, or express the subject of re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or eulogize the nature of homeland. Among all these poetries, Nam Yeongjeon's 42 totem related poems, Seok Hwa's 31 serial poetry-Yeon Byeon and Kim Changyeong's 99 serial poetry-The West Tower, are the most typical ones which show the sense of ethnic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