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종묘는 조선왕조의 왕실조상과 선대 국왕들의 신위를 모신 곳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보면 그 어떤 곳보다 성스럽고 기념비적인 공간이었다. 이성계가 개성에 이씨왕조의 종묘를 건립할 때 활용한 부지가 고려 왕조의 종묘였다는 점도 종묘가 왕조국가에서 지니는 정치사회적 지위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다. 따라서 국왕이 종묘에 행행하는 것은 왕조의 신성함과 정통성을 제례라는 의식을 통해 나타내던 의례였음을 알 수 있다. 국왕별로 행행 시기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 조선전기에 정착된 절기별 제례에 따라 진행되었다. 국왕별 행행의 수치가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정치적 역량과 성향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국왕별 종묘 행행의 차이는 보위에 오르는 과정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조선후기로 올수록 적장자로 태어나 세자에 오른 뒤 보위를 잇는 경우가 현종, 숙종, 경종, 순조, 헌종에 국한된다. 인조의 정변과 영조대 무신난과 임오화변 등은 보위에 오르는 과정이 왜곡되거나 정치적 합의를 이루지 못한 상황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따라서 국왕의 종묘 행행이 국왕별로 일반적인 경향, 내지는 패턴이 일정하게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 국왕의 종묘 행행은 장기지속적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이다. 행행의 장기 지속적 경향은 다양한 부분에서 해석이 가능하겠으나, 그 장기지속성이야말로 통시대적이고 세계사적 측면에서 논할 수 있는 부분이다. 조선왕조 국가가 반세기에 달하는 장기 집권 왕조였던 기반에는 종묘 행행과 같은 장기지속적으로 거행되던 왕실의 의례가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국왕이 종묘에 거둥하는 것은 도성내 행행이다. 도성내 행행에서 종묘 행행은 수백년간 동일한 장소에 반복적으로 지속된 행행이었다. 국왕이 행행하는 곳은 왕조의 기념비적 성격을 지닌 특정 장소이며 국왕의 종통 및 왕권에 정통성을 시각적 혹은 내재적으로 군관민이 공인하는 공간이다. 또한 종묘 행행이 장기 지속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거행된 것은 행행 그 자체가 지니는 의례적 상징은 물론 정치적 역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국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제일 먼저 종묘를 재건한 것도 국왕과 지배층이 종묘의 기념비성과 정치적 상징성을 인지한 결과이다. 따라서 국왕이 종묘에 행행하는 것은 그 어떤 정치적 행위보다도 고도의 통치행위라고 해석해야한다. 그렇지 않다면 왕조국가가 수백년간 장기 지속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기본 구도가 일치하는 의례 행위를 거행한 것을 단순한 이벤트로 처리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행위주체의 의도에 따라 의례가 반복되고 지속적이었다는 것은 곧 그 자체가 살아 움직이는 정치적 역사성을 지녔다고 볼 수 있으며, 종묘 행행이 그 대표적 사례였다.


As we know, Joseon dynasty pursued protocol abiding society by using Confucian ideas as a mean of ruling. The basic of Confucian ideas which Joseon kingdom had used as a mean of ruling was to make the members of society adapt to protocol ruling structure which was based on the separated status system. Joseon aimed to build a protocol abiding society where King became the top and society members were stratified by their status and occupations. Therefore, research on King’s parade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in the Joseon Dynasty can reveal the facts that national ceremony was the process to stabilize king’s ruling power by ceremonies and the result of sublimating King's individual filial piety to the level of national ceremony. Over the entire Joseon period, especially King's parade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had functioned as a political tact to reinforce the power of king and to propagate the orthodoxy of succes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represents the five characteristic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King’s parade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Second, It was held intensively over the Youngjo(英祖), Joungjo(正祖), Sunjo(純祖) of three Kings. Third, the number of King Youngjo’s moved very high figure compared to other monarch. Fourth, it has been a lot of progress in the new year spring and fall. Fifth, It was showed a lot in the winter of January. Also it accounted for the highest levels in the capital city of King’s parade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Finally, Joseon King’s Parade feature is the continuous long-term trend. It can explain the unique governance system of th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