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7세기 조선은 壬․丙 兩亂으로 인해 소홀해진 國家典禮를 재정비하고, 명․청교체 이후 왕실의 하자가 있던 사안들을 성리학적 명분론에 입각해서 재편해 나갔다. 그 가운데 함흥․영흥본궁의 제향의식 정비도 주요 논의 대상으로 거론되었다. 양 본궁은 조선의 原廟로서 태조를 비롯하여 4대 선조를 모신 신성한 공간이지만, 동시에 불확실한 연원과 비체계적․非儒敎的 속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양 본궁은 前例를 중요시하는 국왕들의 비호 아래 기존의 문제점들을 보완하면서 점차 그 체모를 갖추어 갔다. 인조대에는 함흥본궁의 제사에 무당과 內奴가 참여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숙종대에는 영흥본궁의 제사를 전담하는 別差가 파견되었다. 그리고 정조대에 이르러 국가적 차원에서 양 본궁의 제향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규격화됨으로써 형식상의 원묘의 체제가 완성되었다. 아울러 숙종대에 거행되었던 신덕왕후의 본궁 부묘와 정조대에 이뤄진 환조의 본궁 부묘는 양 본궁의 원묘로서의 인식적 가치와 위상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 결과, 한때 존폐의 위기에 놓였던 양 본궁은 인조․숙종․정조대를 거치면서 국가가 공인하는 원묘로 인정받게 되었고, 양 본궁의 제향은 국가전례에 포함되어 조정의 관리 아래 大韓帝國기까지 행해졌다.


Since the Ming-Qing transi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Joseon sought to reorganize the national rituals which were neglected during the Imjin War, and to reform the royal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Neo-Confucian cause. The reestablishment of the sacrificial rites in the Original Palaces(bon’gung 本宮) in Hamheung(咸興) and Yeongheng(永興) was one of the major issues in the disputes over the ritual reform. Though revered as sacred spaces enshrining the four founding ancestors including King Taejo(太祖), the Original Palaces had been criticized by the court officials for their uncertain origins and non-Confucian sacrificial rites. In firm defense of the royal palaces of origin, the rulers of Joseon, from King Injo(仁祖), Sukjong(肅宗) to Jeongjo(正祖), initiated a series of reforms, resulting in the promotion of recognition,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the Original Palaces as the Shrines of Origin(wonmyo 原廟). Since then, the sacrificial rites in two Original Palaces, integrated into the system of national rituals, had been observ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court until the Korean Empire period(大韓帝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