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망암(望菴) 변이중(邉以中) 선생의 학문과 실천성을 살펴본 것이다. 망암은 일찍이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나아가 학문을 익혔다. 망암은 학문이나 도는 현실에서 발현되어야 하고 현실에서 그 가치가 나타나야 한다는 실천성을 중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의(義)로서 결단하고 견위수명(見危授命)의 정신을 행하였다. 임진왜란 때 절의적 충의정신을 통해 모든 난국을 타개하고자 하였다. 특히 행주대첩에서 그 발명한 화차(火車)와 총통(銃筒)의 활용은 난국의 전세(戰勢)를를 만회하고 역전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또한 향헌(鄕憲) 10여 조를 만들어 봄가을로 강습하여 풍속이 크게 교화되도록 노력도 하였다. 본 글은 56세 때 망암이 지은 「심득(心得)」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것은 그의 학문적 성향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자료를 중심으로 학문과 그 구국운동은 어떤 관계에 있으며, 이 두 가지가 일치되어 나타난 실천적 특징은 무엇인가를 다루었다. 망암 선생의 학문은 인간 존재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위난의 현실에 대비하고자 하는 경세의식과 지선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도(道)의 실현이, 그 학문과 실천에 있어서 하나의 일관성을 이루면서, 현실 세계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것이 바로 조선의 성리학과 실학의 가교로서 그 의미를 지니고 있었음이 ‘학문과 그 실천성’에 대한 특징이라 하겠다.


This paper is to look into Mangam’s learning and his will of doing. He had learned in the schools of Seong Hon and Lee Yi since his early ages. He valued the will of doing with the belief that learning or justice should be realized showing its value in real life. That is, he tried to realize the subjective idea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the political-economic idea to be ready for crisis, and the ideal of Jiseon(止善: Good enough not to do anything bad). He, therefore, tried to overcome all the hardship by the spirit of loyalty and righteousness in the Imjin War. Especially the Hwacha(火車: a kind of cannon to fire arrow and shell) and Chongtong(銃筒: a kind of rifle) invented by him led the Haengju Fortress Battle to a great victory, which, as a result, largely contributed to turning the tide of the Imjin War itself. In addition, he made more than ten articles of Hyangyak(鄕約: rules by and for local communities) and lectured about them every spring and fall as an effort of his to enlighten the people on their custom. Such learning style of his has its meaning as a temporary bridge between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ism based Practical Science in Joseon Dynasty. This is the characteristics of “Mangam’s learning and his will of do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