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글 서체를 연구하는 데 사대부들의 한글편지 글씨의 독특하고 다양한 조형요소는 오늘날 서예가들이 ‘법고창신(法古創新)’하는 데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하지만 그동안 사대부들의 서체에 대한 연구는 한문 서체에 집중되었고, 한글 서체에 대한 연구는 조형에 관한 연구만 부분적으로 진행되어왔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6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까지 분포하는 총 28종, 1473건의 한글편지 가운데 시기별로 사대부 세 명을 선정하여 자소에 대한 서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 요소와 독창적 요소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방법은 자형의 축약에 의한 서풍을 간이성(簡易性), 점획 연결의 연면성, 전절의 조화성, 향배의 조응성(照應性) 등의 서법요소를 중심으로 파악하되, 각각의 서풍에 내재된 미의식의 원천을 사대부의 학예사상을 바탕으로 개략적으로 밝히는 데 1차적인 초점을 두었다. 16세기는 서법을 분명하게 하기보다는 자연스러우면서도 소박하게 표현하였고,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율곡 학맥의 서인 노론계열은 마치 집권당의 권위를 내세우듯이 운필을 신중하고 정중하게 하여 안정된 결구를 보여주고 있다. 18세기에 들어 실학시대의 진경문화를 맞아 동국진체가 등장하면서 한글 서풍도 초서풍의 흘림체가 유행하였다. 19세기는 한글 서풍의 종합적인 면을 아우르는 가운데 비학(碑學)의 고증학적 영향에 힘입어 금석의 기운을 담은 질박하면서도 강건한 서풍이 주류를 이루었다.


It is invaluable for calligraphers to study the unique and diverse formative elements represente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Sadaebu(士大夫). While a study on the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written by Sadaebu(士大夫) has been focused on the Chinese letters until now, a study on the Korean letters has been made only in formative elements. Accordingly I investigated 1473 letters in 28 denominations in the late 16th and the late 19th Centuries, selected three Sadaebus(士大夫) according to the times, analyzed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phonemes, and examined their common elements and distinctive elements diachronically. Using the analysis methods such as simplicity, consecutiveness, correspondence and pocorresndence, I tried to find the aesthetic sources in each calligraphic style based on Sadaebu(士大夫)’s scholarship and art. The calligraphic style was natural and simple in the 16th century. In the 17th century the calligraphic style was courteous and careful as if Seoin Nohron group in Yul Gok literary background had represented their authority. In the 18th century, Silhak period, the cursive style was prevailed with the appearance of Donggukjin style. In the 19th century the calligraphic style was powerful as well as plain under the methodological influence of Bihak(碑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