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8세기 후반 창작된 것으로 알려진 <현씨양웅쌍린기>는 부부갈등을 중심으로 남녀 인물의 성격과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던 작품이다. 호방한 형 현수문과 냉담한 아우 현경문의 성격 대비로 인해 부부갈등의 양상은 다채롭게 전개되며 독자의 흥미를 자아낸다. 그러나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부부갈등을 남녀 개인 간의 성격 대립으로만 보아서는 여성 독자들의 구체적인 공감 지점이나 작품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충실히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인물의 사회적 처지에 초점을 맞추어 두 부부의 이야기 사이의 차이를 탐색해보았다. 결론적으로 현경문‒주여교 부부의 갈등이 대등한 신분 정체성을 전제로 긴장감 있게 전개되는 반면 현수문‒윤혜빙 부부의 갈등은 사족으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가지고 있는 여성 인물에 대해 남성과 그를 둘러싼 인물들이 이를 인정하지 않음으로 인해 일방적인 억압이 발생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면에는 몰락한 사족 계층 여성들의 처지가 반영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현씨양웅쌍린기>의 부부갈등은 개인 간의 기질 대립에서 비롯되는 섬세한 재미를 제공하며 주체적 여성상을 실감나게 창조해낸 작품이나, 그러한 부부갈등의 구체적 전개나 주체적 여성상의 형상화가 인물들의 사회적 처지를 전제로 하여 비로소 이루어진다는 점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Hyeonsiyangwoongsangrinki, regarded as a work of late 18th century, is a story about conflict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contrast of personality between two brothers makes the story more interesting, generating various sub‒stories due to their unique personality. But if we focus only on the personality of men, the point where women readers sympathized with women characters cannot be caught concretely. So in this article, the social situation and identity of women characters is dealt more closely. The conflict between Hyeonkyeongmoon and Juyeokyo is developed tightly on the basis of mutual equality of social status. On the contrary, Hyeonsoomoom unilaterally oppresses Yoonhyaebing. He doesn’t treat Yoonhyaebing as a noble woman as she commands herself. Yoonhyaebing can be interpreted as a type of ruined noble woman readers can easily find nearby. Hyeonsiyangwoongsangrinki is highly reputated as a work creating independent women characters vividly. To acknowledge that poin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onflict between husband and wife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social context of characters and 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