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 식민지 종교연구 중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는 것이 신사참배 문제이다. 기존의 학계에서의 신사참배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기독교계 입장에서의 신사참배 강제에 치중해왔다. 하지만 신사참배란 무엇인가? 신사에 가서 신에게 기도를 청하러 왔다고 혹은 신을 찾아뵈러 왔다고 인사드리는 것이다. 이러한 신사의 간단한 의례가 일제 식민지기 조선에서뿐만 아니라 대만 등지에서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대대적으로 실시된 것은 피식민지인들을 일본 국민으로 만들기 위한 일종의 국민의례의 실천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일본의 국민도덕과 국가신도 간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이 글에서는 국가신도의 국민도덕화 과정, 혹은 국가신도 의례의 국민의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식민지 지식 생산의 보고인 경성제대의 윤리 부문과 신도 부문의 장서를 중심으로 그 주요 담론 및 실천 양상을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일본의 국민도덕이란 충효 본위의 유교를 바탕으로 만세일가의 천황을 어버이로 하여 천황의 신민들은 그 직분을 다하면서 천황가를 제사 지내고 천황을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국민도덕은 1920년대까지는 서구사상에 대항한 일본정신의 옹호 측면에서, 1937년 이후로는 대동아공영권을 건설하는 지도원리 ‘황도’로서 논해져왔다. 둘째, 일본의 국민도덕은 국가신도의 도덕성과 연관이 있다. 즉, 신도는 아마테라스가 신칙을 내린 이후부터의 일본의 신들과 조상들의 행적이며, 이를 후손들이 본받고자 일상생활에서 신의 도를 실천하기에 신도가 일본의 국민도덕이 된 것이다. 신도는 황조신 아마테라스가 손자 니니기에게 일본 땅으로 내려가 다스릴 것을 명한 신칙에 의해 그 기초가 세워져 국체로 발전했으며, 이러한 일본의 국체는 아마테라스를 황조 중의 황조로 해서 황실 이하 일본 국민이 일대가족을 이루는 것을 가리킨다. 이것이 가토가 정의한 국가신도의 국체신도를 이루며, 이러한 국체신도를 숭경하고 제사 지내는 것이 곧 국민도덕이다. 셋째, 국가신도의 국체신도는 국가의 종사로서 신사는 경신숭조·보본반시의 국민도덕의 실천기관이며, 신사에서의 의례는 국민의 조상신에 대한 도덕적 의무로서 종교적 의례가 아닌 국민의례가 되었다. 1930년대 전시체제하에서 조선인의 심적·물적 동원을 위해 황민화 정책이 실시되었고, 조선인의 황민화는 일본정신의 이식을 목표로 공교육이나 신사참배와 같은 국가신도의 의례를 통해 신사숭경을 함양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그 당시 지식인들이 생산한 지적 담론들은 일제의 정책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향후 심도 깊은 식민지 정책의 연구를 위해 식민지 지식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경성제대 장서들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길 바란다.


One of main themes in religious study of Japanese occupation period is Shinto shrine worship. Previous researches about shrine worship have been focused on the compulsion of shrine worship by Christian researchers. However, what is ‘shrine worship’? It is to clap hands and bow down to the gods of shrines before ones pray. In 1930s, such simple Shinto ritual had been extensively forced into Koreans and Taiwanese with the aim of Japanization. So, shrine worship should be considered as a kind of ‘the pledge of allegi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Shinto and the discourse of Japanese national morality should be studied to understand how shrine worship had been changed as the pledge of allegi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State Shinto could be national morality or how rituals of State Shinto could be the pledge of allegianc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shinto and the discourse of Japanese national morality. The research subject is books of morality section and Shinto section among book collection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 First, Japanese national morality can be defined as serving the Japanese emperor as a father in the perspective of filial piety‒centered Confucianism and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Japanese emperor's ancestors as Japanese citizen’ duty. Such Japanese national morality had been used as the discourse of Japanese spirit to fight against Western ideas until 1920s and as the discourse of ‘the Imperial way(皇道),’ a guiding principle to construct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since 1937. Second, Japanese national morality is related to morality of State Shinto. In other words, Shinto is the behavior rules of Japanese gods and ancestors after Japan was founded according to Amateras’ order. Japanese descendants had followed such rules to emulate their good behavior, so that Shinto had became the national morality. Shinto was begun by Amatera’s order that instructed Ninigi living in the sky to descend toward Japanese land, and Ninigi’s descendant became emperors of Japan. And then, it had been developed as Gukche(國體), a political system of a nation. Such Japanese political system means that Japanese people form a big family, respecting imperial family as their parents. It is called as ‘Gukche Shinto,’ as a result, ‘Gukche spirit’ becomes Japanese national morality. Third, as Gukche Shinto(a type of State Shinto) is a national ritual, Shinto shrines are a place where Japanese people practice the national morality such as respecting gods and ancestor spirits and returning their’ favor. As a result, rituals in Shinto shrines became the pledge of allegiance as ethical obligation returning national ancestor spirits’s favor. Under the war basis of 1930s, the policy making Japanese was enforced to mobilize a sense of loyalty and supplies. And such assimilation policy was carried out by public education or practice of rituals of State Shinto such as Shinto shrine worship. Like this, intellectual discourse influenced on a policy decision of colonial government. Therefore, I hope that book collection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which played key roles in production of colonial knowledge, would be used for future study of colonial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