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高麗와 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非告身 임명문서란 통상 임명에 사용되었던 告身(朝謝文書·官敎·敎牒) 이외의 임명문서를 가리킨다. 조선시대에는 差帖이나 傳令과 같은 임명문서가, 그리고 고려말기·조선초기(13세기 중엽~15세기 말)에는 箚付 등의 임명문서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소수의 개별 연구가 있었을 뿐이고, 그실태가 종합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었다. 때문에 이 글에서는 高麗·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의 종류와 기능의 정리를 목적으로 삼았다. 또 非告身 임명문서의 기원에 대해서 고찰하기 위해 중국 여러 왕조(唐·宋·元·明)의 告身과 非告身 임명문서의 관계에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검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에는 差帖·差關·傳令이임명문서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그 특징은 ①중앙·지방의 관부·관료에서 발급되었고, ②散官(文武散階)을 부여하지 않았고, ③특수한 관직임명에 사용되었다고 정리할수 있다. 고려말기와 조선초기의 非告身 임명문서로서는 箚付 등을 들 수 있고, 濟州人이나 女眞人을 萬戶·千戶·百戶 등으로 임명할 때 사용되었던 것이 확인된다. 또 高麗와 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와 중국 여러 왕조의 非告身 임명문서에는 공통점이 많아 전자가 후자의 계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thesis documents on non-Gosin(告身) styled document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which is the written appointments except for regular ones as known as Gosin including Josamunseo(朝謝文書), Gwangyo(官敎), and Gyochop(敎牒). The existence of written appointments, such as Chacheop(差帖) and Jeonryeong(傳令) in the Joseon Dynasty, and Chabu(箚付) from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Dynasty have been confirmed,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individual researches on it without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herefore, this thesis aimed to organize types and functions of non-Gosin styled document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nd als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non-Gosin styled documents and Gosin in the Tang, Song, Yuan, and Ming dynasties in China additionally to see the origin of it. These approache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Chacheop,Chagwan(差關), and Jeonryeong were used as a document of appointment in the Joseon Dynasty, which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were granted by central or local officials, not given for Changwan(散官), and used for particular official appointments. As a non-Gosin styled documents from the late of Goryeo to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Chabu, and so on used when appointing people in Jeju or Jusen to Manho(萬戶), Cheonho(千戶), Baekho(百戶), etc.. Moreover, many common points about non-Gosin styled documents are found among the Goryeo, Joseon Dynasties and each dynasties in China which proclaims that the former lies on the latter’s genea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