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2008년과 09년에 국립춘천박물관을 중심으로 강원도 영월군 북면공기 2굴에서 발굴한 동물화석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중부내륙지방의 동물상의 일단과 자연환경을 해석하여본 글이다.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내륙 깊숙이 자리한 공기 2굴은 신석기문화층이 주를 이루며 이 시기의 다양한 문화유물과 함께 많은 동물 뼈가 발굴되었다. 분석은 큰 젖먹이짐승(대형포유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박쥐, 쥐 등의 소형포유류 유물은 현재 분석 작업 중이다. 총 6,036점의 큰젖먹이짐승뼈들은 먼저 뼈유물의 구성별, 크기별, 공간분포 등의 계량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공기 2굴 뼈유물들의 절반이상은 6cm미만의 작은 것들이며 이렇게 작게 깨어진 뼈들을 변형시킨 주체로 볼 수있는 사람의 생활공간은 동굴입구에서 10여m 들어간 굴의 안쪽으로 서벽쪽에 치우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분류 가능한 1,258점의 유물을 통하여 모두 19종에 이르는 동물들을감정해낼 수 있었다. 종수로는 식육류가 곰, 호랑이, 삵, 늑대, 여우, 오소리,너구리, 족제비, 수달 등 9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초식동물로는 우제목으로소, 산양(소과), 사슴, 말사슴, 노루, 사향노루, 고라니(사슴과), 멧돼지(멧돼지과) 등 8종과 말 1종의 기제목이 확인되었으며 토끼가 1종(토끼목)이 밝혀졌다. 출토유물의 수에서는 사슴(40.3%), 멧돼지(20.6%), 말사슴(10.3%)의 순으로 나오고 있다. 이것을 통해 사슴의 점유율이 앞선 구석기시대에 비하면많이 낮아짐을 볼 수 있고 사나운 멧돼지의 사냥이 늘어난 것, 험한 산악지대의 짐승(고라니, 산양)의 출현, 소와 말 등의 저평지대의 동물들의 존재는당시 사람들의 사냥이 넓은 지역에 걸쳐 다양하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 동물상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개개의 동물들의 생태환경요소와 세노그람에 의한 분석의 결과는 당시 유적 주변의 환경이 숲이 발달하고 습한환경의 온화한 기후였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는 갱신세의 추운 빙하기가 끝나고, 현세로 들어오면서 온대성의 안정적인 기후로 접어드는 우리나라의신석기시대 중부 내륙지방의 기후의 양상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he analysis of animal bones at Gonggi 2 cave which wasbeen excavated during two years(2008~09) by Chuncheon National Museum.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r, Gonggi 2 cave reveals threedifferent cultural layers and the Neolithic layer constitutes the most importantpart. With a variety of cultural relics such as potteries, polished stone tools,many animal bones have been unearthed. The current analysis of the bonesis focussed to large mammals and the remains of small mammals will betreated later. A total of 6,036 bone remains of large animals are distributed, in first, tothe quantitative analysis such as the size, spatial distribution etc. More thanhalf of the bone remains of Gonggi 2 Cave are less than 6cm and these smallbroken bones are probably the result of human activity. And the living spacein the cave is located inside of the cave : over 10m from the cave entrance,near the west wall. In the classification through 1,258 pieces of NISP, 19 kinds of animals couldbe determined. The most variant animals were Carnivores(bear, tiger, wolf, fox etc.), 8 species of Artiodactyla and 1 species of horse(Perissodactyla) wereidentified and one kind of rabbit have been found.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NISP reveals that the deer (40.3%), wildboar (20.6%) and red deer (10.3%) were dominant. Compared to the previousPaleolithic age, we can say that the importance of deer decrease in this period. The increase of wild boar, the presence of highland animals(hydropotes, goat)and low plains ones(cow, horse) would indicate developed and expandedhunting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biotope of each animal and Cenogrammedistribution in this Gonggi 2 cave fauna, we could say that the environmentof mid inland of korea, at that time, was a temperate climate and a humidenvironment with the developed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