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출산, 고용, 그리고 성장 간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하고, 특히 출산이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선행적인지 아니면 후행적인 내생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구조적 VAR(Vector Auto-Regression)을 통해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충격반응효과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출산이 여성고용 및 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지극히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고, 출산 및 성장에 가장 큰 충격을 주고 있는 것은 여성고용이라는 것을 보이고 있고, 예측오차 분산분해 분석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용 충격이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반면, 출산 충격은 다른 변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고, 성장 충격 역시 자체 변수 외에는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출산은 성장과 고용에 사전적 선행변수로서 역할 정도가 무시할 정도로 미미하고, 여성고용과 성장이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후행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면에서 성장을 위한 여성의 노동공급과 지속적인 출산율 유지를 위한 정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relationship among birth,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and clarifies the role of birth in these variables whether it is preceding indicator or not by the VAR approaches. The results, based on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show that the effect of birth for the women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is not significant, whereas the women employment has a significant role for birth and economic growth in Korea. In addition,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impact of women employment affects to the other two variables, but the other two variables are not significant affect vise versa. That is, a birth variable has a tiny role of affecting to the other two variables as a preceding indicator, however, the women employment and the economic growth have a significant role of affecting to a birth as a following indicator. Therefore, it is believed by many that the economic policy for sustaining women employment and birth is need for economic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