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의 의미와 역할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대라는 기준을,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에 있어 일의 가치를주요한 선행 요인으로 보았다. 세대를 기준으로 한 이유는 Y세대에게 일과삶의 균형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상의 주요한 이슈로 등장한 이유에서도 찾을 수 있으나 일과 삶의 균형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따라(본 연구에서는 세대에 따른 구분에 의해 Y세대에 초점을 둠) 차별화된 특성 및 니즈를 파악할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일의 가치를 주요한 선행 요인으로본 이유는 일과 삶의 균형에서 가장 근본적인 부분의 영향력인 일을 통해무엇을 추구하고자 하는지에 따라 일과 삶의 관계 조율 그리고 일과 삶의균형상태의 정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Y세대의 일의 가치를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세대별로 다르게 두고 있는 일의 가치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을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셋째, Y세대에게 있어 일과 삶의 균형은 직무성과 및 동기에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세대별 인터뷰를 통해 각 세대가 갖고 있는 일의 가치의 특징과 이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상태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이 직장생활 및 전체 삶에서차지하는 중요도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과삶의 관계에서의 일의 가치의 역할을 탐색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다양한대상 관점에서 이해가 가능한 개념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제시하였다. 또한 일과 삶의 균형이 단순히 육아 및 보육지원, 맞벌이 여성지원이라는 기존 시각에서 유연한 근무환경, 더 나아가 ‘좋은 근무 환경’을만드는 것을 포함한 넓은 시각에서 이해가 필요하며 인사 기능과의 연계를통한 ‘관리’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국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상에서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value and the role of the work-life balance of Generation Y. For such purpose, the generation, a criterion, and the work value are set as an important leading factors for the work-life balance. A reason for having the generation as a criteri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work-life balance of Generation Y is appeared as an critical issue for corporate human resource management. However, the other reason is to propose the necessity to find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each group subjected to the work-life balance. And the reason to see the work value as a critical leading factor is the adjustment of relation and the definition of the state of work-life balance is considered to be impacted depending on what is pursued through the influential work of the most fundamental part in the work-life balance. The goals of this study are: First, to find the work value of Generation Y. Second, to understand Generation Y's meaning of the work-life balance by checking on how the work-life balance is perceived by each generation for its work value set differently. Third, to find what is the role of the work-life balance to Generation Y regarding its work performance and motivation. Through interviews for each genera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work value of each generation, the state of work-life balanc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 and the difference existing in the criticality of the work-life balance counted in the work life and the overall life are confirmed. Through such result, the role of the work value in the relation of the work and the life is explored and the theoretical meaning that the work-life balance is a understandable concept is suggested. This study also points out that the understanding should be broaden from the existing angle that the work-life balance is simply for the child care, the support for child care and the support for the double income family's woman to an extensive angle covering the flexible work environment and, furthermore “good work environment” while necessity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e human affair function and a practical suggestion is made for Korean companies regarding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