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노동분쟁 조정위원회 다양성이 조정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시도다. 그동안 다수의 연구가 조정성과의 영향 요인을 밝혀 왔지만, 조정위원회 다양성이 조정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실증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노동분쟁 조정사건을 한 건 이상 담당한 조정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노동위원회 조사관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양적 분석을 보완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다양성은 조정성과에 정(+)의 영향을, 전공과 직업다양성은 조정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조정위원회 다양성과 조정성과에 대한 관계를 양적 데이터를 통해 실증분석한 데 있다. 본 연구는 다양성의 효과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과업특성, 시간, 팀 규모 등 다양한 맥락을 고려해야 함을 주장한다. 조정위원회 다양성에 대한 본 연구의 실증적 결과는 주류의 관점과는 상반된 것으로, 노동분쟁과 노사관계와 같은 특수한 영역의 경우, 범주-정교화 관점의 적용이 타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labor dispute mediation committee diversity on probability of settlement. It develops and tests a model using data from a sample of mediators who had participated in mediation from 2010 to 2011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ex diversity and the mediation outcomes,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ity of educational, occupational backgrounds and performance are found. This paper contributes to explan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tion committee diversity and settl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ight combination of mediation committee are the key to mediation success. Also, my assessment of evidence suggests that the impact of actual diversity should only be understood in context. Perhaps most importantly,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value of adopting a multidimensional, integrated approach in industrial relation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