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체육시설과 운영, 교사인식에 관한 조사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로 국․공립, 사립 유치원과 국․공립, 민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회수된 465부의 설문지 중 442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첫째, 이 연구에 응답한 모든 기관은 현재 유아체육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대부분 주 1회 30분 정도로 수업이 진행되었고, 그것도 유아체육전문 기관에 위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도하는 교사의 자격에 대해서는 체육학과 전공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기관별 체육시설 중 유아체육교육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로 강당 및 체육관이라 답했고, 시설과 기구가 원아 수에 비해 충분한지에 대해 보통 또는 부족하다의 응답 빈도가 높았으며, 시설 및 기구의 부족이유는 공간적 제약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 교사들은 체육교육에 대해 약간알고 있는 정도였고, 유아체육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100%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일반 교사들은 유아체육교육이 놀이 활동으로 즐겁게 이루어져야 하며, 우선시 되어야 할 체육의 목표에 건강한 생활습관이라고 답했다. 체육교사의 자질은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아는 것이며, 유아체육교육이 주당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에 대한 질문에 30~1시간 정도가 적당하다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한정하여 조사되었기에 후속 연구는 전국적인 유아체육교육의 연구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를 유아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유아교육기관의 유아체육교육이 보다 개선되고 활성화되어 유아시기의 체육이 평생체육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계획과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undertook an investigative study of facilities, operation and views on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t institutions for children's education. For this purpose, it studied instructo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in children's homes in the Seoul/Gyeonggi area. 442 of 465 surveys were returned by respondents and utilized as data for the study. Results drawn from the data are: 1) all institutions responding to the survey offered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Kindergartens had reg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Most held classes for 1 hr. and 30 mins. per week. The survey showed that these were entrusted to profess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2) The survey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at each institution showed that 47.3% of total respondents had at least one facility such as a playground, hall, exercise room, swimming pool, or outdoor play area. Response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facility is hall and gymnasium, and shortage of facilities and equipment was most often due to lack of space. 3) 100% of respondents viewed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as necessary. They also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goal for physical education was the creation of healthy life habits. Regarding ideal number of hours per week for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 majority (71.6%) said that 30 mins - 1 hr was an appropriate time al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