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양식 유형, 정신건강 수준 및 자기능력 지각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바람직한 자기평가 능력을 갖도록 교육프로그램과 상담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생활양식과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생활양식 유형 중 지배형은 경조증과, 유용형은 우울증과 히스테리, 회피형과 의존형은 정신건강 모든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수준의 상관을 나타내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생활양식 유형과 자기능력 지각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용형과 지배형은 자기능력 지각과 정적인 상관을, 회피형과 의존형은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정신건강과 자기능력 지각과의 상관관계에서 두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수준의 부적 상관이 발견되었다. 넷째, 자기능력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예비유아교사의 생활양식 유형과 정신건강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에서 유용형, 우울증, 지배형, 그리고 히스테리 순으로 자기능력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바람직한 자기능력 평가를 위한 생활양식과 정신건강을 갖도록 교육프로그램과 상담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mong types of life-style, mental health and self perceived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20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oneway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by SPSS 12.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life-style and mental health, the getting type and the avoidance type have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life-style and self perceived competence, the useful type and the ruling type have a positive effect in self perceived competence. but the avoid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 perceived compete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elf perceived competence, the higher level of mental health have a negative effect on self perceived compete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life-style, mental health and their self perceived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could easily adapt to the relationship with useful type and depression, ruling type, hos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