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영아반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경험에 대한 이들의 태도를 알아보고,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 15개 어린이집의 0~2세 영아반 교사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창의적 인성은 선행연구에서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선행연구의 도구 문항을 영아반의 특성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측정한 후 요인분석을 거쳐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영아반 교사의 창의적 인성은 집요성, 호기심, 개방성, 독자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태도는 영아 음악경험의 필요성과 교사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의 음악경험을 위한 활동의 계획과 준비, 상호작용 등의 ‘행동’이 그 다음 순서로 높았으며, 영아의 음악경험 지원에 대한 효능감의‘감정’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과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교사의 태도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교사의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중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하려는‘독자성’의 성향과 업무에 대한 몰입과 지구력을 나타내는‘집요성’의 성향이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교사의 적극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경험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구체적으로 측정하여 경향을 살펴보고, 교사의 창의적 성향이 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실증적으로 밝혀보았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creative tendencies and their provision of music experiences for infant in classroo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9 infant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s. Test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creative tenden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provision of music experience in infant classroo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fant teachers' creative tendencies and their provision of music experiences in infant classrooms were showing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infant teachers’creative tend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provision of music experience in infant classro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