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을 파악하고,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객관적·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시 3개 자치구 내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후, CCR 모형과 BCC 모형 별로 준거집단과 기여도 등 효율성 분석 값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로 관련 특성을 확인하고,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 변수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10개소의 어린이집이 효율적인 어린이집으로 파악되었으며, 42개소 어린이집이 규모에 의한 영향을 원인으로 비효율이 발생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효율적 어린이집은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수준의 투입요소를 통해 높거나 유사한 수준의 산출요소를 생성하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보육료, 인건비, 보조금 등 변수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 모두가 효율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어린이집 유형별 효율성 값을 상호 비교하여 민간어린이집이 국공립어린이집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재정자립도 별로 구분하여 효율성 점수를 비교하였으나 자치구의 재정상태와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효율성 간 상관관계를 규정할 수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service by national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get objective and scientific information to enhance their efficiency, by the utilization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 this, we performed an efficiency analysis for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in thre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checked related characteristics by multilateral reviews of the criterion groups and the efficiency analysis values, such as the conduciveness, for each of the CCR and BCC models; and selected the influence variables for the efficiency. As a result, ten child-care centers were found to be efficient ones, while 42 child-care centers turned out to be ones with inefficiency from the causes by their scales. We could see that the efficient child-care centers generate higher or similar levels of output elements through relatively much lower levels of input elements. And we performed Tobit Analysis for the variables, such as the child care tuition, the personnel expenses and the subsidy, which were expected to exert influences on the efficiency of the child-care centers and found out that all these independent variables have meaningful influences upon the efficiency. We also confirmed that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private child-care centers is higher than that of the national child-care centers, by the mutual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values for each type of the child-care centers. When we compared the efficiency grades by the fiscal self-reliance ratios of the autonomous districts, which we had expected to show meaningful differences, we could not stipul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scal self-reliance ratio and the efficiency of the child-care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