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만 4세 죠가 경험하는 문해에 대한 일상의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죠의 생활세계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죠가 경험하는 문해를 공간체험을 중심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 참여관찰 및 면담을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Van Manen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근거하였고 연구결과는 체험된 공간의 범주에서 해석되었고 논의 되었다. 죠의 문해 공간체험은‘냉장고 밖의 글자 나라’,‘글 쓰는 작가의 침대’,‘작가가 쓰는 공간인 종이’로 정리할 수 있었다. 죠의 이런 문해 공간 체험은 첫째, 가정에서의 문해 자료 배치 및 관련활동 제공이 유아기부터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둘째, 가정 내에서 발견된 기능적 활자물들이 유아의 문해 발달에 영항을 미친다는 것이고 셋째, 만4세 유아에게 글을 쓰는 것은 사회의 규범을 알아가는 사회적 상호작용중의 하나라는 것을 함의 한다. 본 연구는 부모에게 자녀의 문해 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어떻게 유아들의 문해 생활세계를 들여다보고 의미 있게 보는지의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provides a description of a four-year-old child named Joe and conduct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spatial experience in terms of literacy with an aim to identify the meaning of routine experiences pertaining to literacy. Participation-based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between August and December, 2014 to achieve the aim.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developed by Van Manen and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discussed in terms of the experienced space. Joe's literacy-related spatial experience can be summarized as‘the world of letters outside refrigerator’,‘writer's bed’ and ‘paper as a writer's writing space’. Joe's literacy-related spatial experience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allocation of literacy-related materials and related activities at home may influence a subject in his infancy. Second, functional printed letters affect infants' literacy development. Third, it implies that for an infant, writing is one of social interactions that teach social norms.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children's literacy and education to parents and work as a basic material for parents education in terms of the exploration of infants' literacy life and how it can be meaning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