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정적인 감정이나 생각에서 한걸음 밖으로 물러나서 봄으로써, 부정적인 생각이나 감정이 자기의 한 측면이거나 현실에 대한 정확한 반영이 아니라 자각의 장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라는 것을 경험하는 것’을 상위인지적 자각(meta-cognitive awareness)으로 정의하고, 집단상담에서의 상위인지적 자각 수준의 변화 정도와 상담성과와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상담성과는 대인관계문제, 역기능적 태도 및 역기능적인 정보처리 양식의 감소이다. 이를 위해 10개의 집단상담에 참여한 대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전과 후 2 차례에 걸쳐 상위인지적 자각 평정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 역기능적 태도 척도, 역기능적 태도 척도 문항에 대한 극단적 반응 빈도를 반복 측정하였다. 집단상담을 통해 상위인지적 자각 수준이 변화한 정도에 따라 대인관계문제, 역기능적 태도, 역기능적 정보처리 양식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상담 전에 비해 후에 상위인지적 자각 수준이 상승한 집단과 정체 및 감소한 집단으로 나눈 뒤, 각 종속측정치에 대해 집단과 시기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위인지적 자각 상승 집단의 대인관계 문제점수는 정체 및 하강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역기능적 정보처리 양식 또한 상승집단이 정체 및 하강집단보다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역기능적 신념은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서 상위인지적 자각과 상담성과 사이에 관련성이 있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불교 철학을 바탕으로 한 상위인지적 자각 개념이 치료 요인으로 작용함을 탐색하였고, 상담 장면에서 상위인지적 자각을 촉진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meta-cognitive awareness would be associated with counseling outcomes, measured by Interpersonal Problems, Dysfunctional Attitude, and Dysfunctional Processing Mode. Specifically,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and Measure of Awareness and Coping in Autobiographical Memory were administrated to a total of 46 college students attending 10 group counseling sessions. The groups were assessed for meta-cognitive awareness and counseling outcomes twice before and after the group counseling.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 (a) the increased group, and (b) the stagnant, decreased group, based on their changes in the level of meta-cognitive awareness. A repeated-measur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used with the group membership and the time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reased group was found to show significantly reduced scores on Interpersonal Problems than the stagnant, decreased group; 2) No significantdifference was found for the mean scores of Dysfunctional Attitude between the two groups and 3) The increased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n the extreme response scores for Dysfunctional Attitud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ta-cognitive awareness could reduce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to shifting dysfunctional cognitive-set into a more adaptive one. Thus, counselors are advised to increase the client's meta-cognitive awaren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rapeutic changes. This paper concludes with bo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