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주요한 내용은 한국문화에서 부모-자녀관계의 특성이라 볼 수 있는 부자유친성정과 자아분화 그리고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간의 관계를 근거로 문화적 특수성과 보편성에 따른 상담적용의 시사점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고등학생 314명(남: 159명, 여: 15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처리 및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1.0과 구조방정식 모델의 프로그램인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4.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자유친성정과 자아분화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자유친성정과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와의 관계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자아분화와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자유친성정 하위변인들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아버지, 어머니와의 일체감 변인과 아버지의 헌신성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고, 부자유친성정이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버지와의 일체감 변인만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분화의 하위변인들이 심리․사회적 적응관련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가족퇴행과, 인지 대 정서기능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자유친성정과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와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전매개모델이 부분매개모델이나 단순효과 모델에 비해 자료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an alternative or a more appropriate approach in counseling regarding multiple cultural problem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14 high school students (159 males and 155 fema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and self-differenti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hereas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Furthermore,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also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in the subsidiary variable of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the oneness variable of a father, a mother and the self-sacrifice variable of a fathe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only the oneness variable with a father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Also,in the effect of the subsidiary variable of self-differentiation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the family regression and the variable of intelligence/emotion fun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the full mediation model showed better fit to the data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or the simple effect model. Thus, in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only the indirect path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through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 whereas the direct path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was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