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연구 1과 2로 구성된다. 연구 1에서는 대학 학생생활상담소의 63명의 내담자에게 상담 1, 2회기 시작 전에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를, 3회기 직후에 작업동맹 질문지(WAI)를 내담자와 상담자에게 각각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 수준이 높은 내담자들은 상담자와의 작업동맹을 낮게 지각하였다. 작업동맹의 각 하위요인들은 모두 내현적 자기애의 목표불안정성 요인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사례 중 내현적 자기애 점수가 높으면서 작업동맹이 높고, 낮은 2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와 작업동맹간의 관계를 언어적 상보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내현적 자기애가 높고 작업동맹이 낮은 두 사례의 경우 친애차원에서 내담자는 적대적 반응을, 상담자는 주로 우호적 반응을 보였으나 적대적 반응도 있었으며, 통제차원에서는 상담자는 지배적 반응을, 내담자는 순종적 반응을 주로 보였다. 내현적 자기애가 높고 작업동맹이 높은 두 사례의 경우, 친애차원에서 내담자와 상담자 모두 우호적 반응을 많이 보였다, 반면 통제차원에서 상담자는 지배적 반응을, 내담자는 순종적 반응을 주로 보였다. 또한 언어반응 연계쌍을 분석한 결과, 작업동맹이 높은 집단은 부정적 상보성 점수가 긍정적 상보성 점수보다 낮았으며, 작업동맹이 낮은 집단은 긍정적 상보성과 부정적 상보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This paper consists of two studies. In Study 1, Covert Narcissism Scale(CNS) and Working Alliance Inventory(WAI) were administered to 63 clients from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before session 1 or 2 and after session 3 accordingly. Analysis revealed that clients with higher CNS perceived less Working Alliance. Sub-factors of Working Allia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ner-goal-instability of Covert Narcissism. In Study 2, among high CNS cases, two each with high and low Working Alliance were analyzed from a counselor-client complementarily viewpoint.In the former cases, both displayed friendly responses in affiliation relations. In control dimension, counselors showed dominant, and clients, docile responses. In the latter, clients displayed hostile, and counselors, friendly responses and the same results were shown for the control dim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