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동양의 전통적인 수행 방법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불교의 전통적인 수행 방법 중의 하나인 간화선 집중수행 체험을 통한 변화를 확인하고 그 심리 치료적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안국선원에서 집중적인 간화선 체험을 한 12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간화선 체험 중의 내적 경험들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의 분석은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화선 수행 중의 경험들은 간화선 수행 동기, 화두를 드는 과정, 결정적 체험, 결정적 체험 직후 현상, 화두의 기능에 대한 해석 및 간화선 체험 후 변화의 여섯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여섯 개의 주요 영역에 걸쳐 9개의 하위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범주가 형성되었다. 간화선의 심리 치료적 효과는 긍정적인 신체적 변화, 안정적인 정서 체험, 관점/태도의 변화, 존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 대인관계의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가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간화선의 심리 치료적 적용 가능성과 치료적 기제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treat of Ganhwa Seon(GS), one of Korean Buddhist traditional practices, leading changes in psychotherapeutic mechanism. Twelve individuals participating the retreat of GS were interviewed on their internal experience during the practice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CQR. The internal experience was categorized into 6 domains: A motive of GS performance, Taking the Huotou, Critical Experience, Phenomena after Critical Experience, Interpretation of functions of the Huotou and Changes after Experience of GS. These categories were again divided to 9 sub-domains and 34 categories. Results showed the psychotherapeutic effects of GS, specifically a positive physical change, emotional stability, changes in attitude, epistemological changes and improvement of social relations. The application of GS to psychotherapy and the mechanism of G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