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보고식 탄력성 척도인 CD-RISC가 스트레스와 적응을 동시에 반영하는 Masten과 Reed(2002)의 탄력성 모델을 지지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CD-RISC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의 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탄력성을 측정하였다. 독립변수인 스트레스와 적응을 Masten과 Reed의 모델에 따라 각각 고집단과 저집단으로 구분하고, 스트레스와 적응이 종속변수인 CD-RISC 하위요인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주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적응은 영성을 제외한 다른 모든 CD-RISC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적응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영성을 제외한 다른 모든 CD-RISC의 하위 변인들에 대한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CD-RISC가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의 적응력이라는 탄력성 구인을 잘 반영하는 타당한 척도임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CD-RISC의 타당도와 영성 하위 척도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고, 상담 실제에 있어서의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In particular, authors tested if the model of Masten and Reed(2002) assuming two core properties of resilience (i.e., stress and adaptation) was supported by this scale. Stress, college adaptation, and resilience were measured among 260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Results of MANOVA showed that adaptation exhibit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CD-RISC subscales except spirituality. The interaction effects of stress and adaptation on resilience subscales were significant except the spiritualit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D-RISC is a valid scale to measure resilience, known as adaptation in stressful situations. Furth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e spiritualit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