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20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의 성인 애착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 불안(특히 사회적 상호 작용 불안)과 정서 조절 기제(반추와 정서 억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성인 애착 불안과 회피 차원은 각각 반추와 정서 억제라는 상이한 정서 조절 기제를 사용한다. 그런데 사회적 상호 작용 불안이라는 특정한 정서 발생 상황에 대해서도 그러한 정서 조절 기제를 사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해 각 변인들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그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상관 분석 결과, 성인 애착 불안과 회피 모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반추, 우울 등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구조 모형 분석 결과 성인 애착 불안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매개로 반추에 영향을 미쳤고, 반추는 다시 우울로 이어졌다. 한 편 성인 애착 회피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매개로 반추로 연결되었고, 이는 우울로 이어졌다. 성인 애착 회피는 정서 억제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매개로 정서 억제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test the mediational effect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maladaptive affect regulation(particularly rumination and emotion suppression) on the link between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respectively) and depression. In order to examine the hypothesis, 201 college students were sampl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hypothetical model explaining the structural paths and the fit of the model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ru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depression, as well as attachment anxiety and depression. Additionally, the associ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depression was not mediated by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emotion suppression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emotion suppression on the link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