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기업체 종사자의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및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내 기업체에 종사하는 만 19세 이상의 남녀 5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의도의 관계를 이론모형으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목록을 개발하였다.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목록은 선행연구와 104명의 국내 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전문가 평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가정문제, 건강문제, 정신건강 & 성격, 이성문제, 진로문제, 직장문제 등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19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기업체 종사자의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및 의도의 이론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낙인과 자기낙인이 각각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매개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가 사회적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 낙인이 사회적 낙인보다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n employee’s public stigma and self-stigma affect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and intention. For this, 596 working employees were surveyed. A theoretical model for public stigma, self-stigma,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and its intention was built and empirically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order to test the model, the scale for intentions to professional help-seeking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doing so,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for 104 employees. Nineteen questions were selected to measure family, health, mental, personality, relationship, career path, and work place matters. Results for theoretical model were as follows.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mediated between each public stigma, self-stigma and intentions to seek professional help.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mediated fully the association between public stigma and intentions to seek professional help. Self-stigma was related to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more negatively than public stig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