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가장 인간의 사회적 삶의 모습을 지칭하는 유토피아라는 개념은 오늘날 우리에게 ‘실현 불가능함을 의미하는 부정적이고, 허황한 그 어떤 것’의 의미로 각인 되어 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토피아(Digitopia)’, ‘테크노피아(Technopia)’, ‘에코토피아(Ecotopia)’, ‘데모크라토피아(Democratopia)’ 등과 같이 새로운, 그리고 희망적인 사회를 지칭하는 용어들이 끊임없이 유토피아에서 파생되어 나온다는 사실은 유토피아라는 용어가 현대의 우리에게는 부정적으로 각인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 속에는 분명 새로운 사회에 대한 희망을 더 본질적인 의미로 내포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렇게 볼 때 유토피아는 우리에게 현실적 희망이어야 한다. 유토피아는 우리에게 멀리 떨어져 있는 이상적인 삶의 장소나, 먼 미래의 모습이 아니라, 현재 우리의 삶과 관련되어야 한다. 그래서 유토피아의 본질적 특성은 보다 나은 사회적 삶과 모습을 위해 현재의 부족한 모습을 비판하는 것에 두어져야 한다. 이러한 유토피아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이해를 그 누구보다 강조한 사람이 구스타프 란다우어(Gustav Landauer)이다. 그에게 있어서 유토피아는 보다 나은 삶을 지향하는 인간들의 이정표이자 지향점이며, 또한 현재의 부족과 불만을 비판하는 준거이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로서의 유토피아는 따라서 삶의 매 순간 우리의 의식 속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개혁의 의지이며, 보다 나은 삶에로의 희망을 갖게 함으로써 미래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다.


The concept of 'Utopia' which stands for the most social figures of human beings has been perceived as unattainable, negative and unreliable. Even though 'Utopia' is recognized to have negative connotation, new and hopeful terminologies such as Digitopia, Digitopia, Ecotopia and Democratopia are derived from it since it shows internal desires for the new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Utopia should be actual hope. Utopia should be related to our present lives not to the ideal places far apart or future. Therefore, the essence of 'Utopia' is to criticize the insufficiency of the actuality for the better future. From this perspective, the philosopher, Gustav Landauer concentrated on the positive and active understanding of Utopia. It is a milestone for the people who orient the better existence and the compliance to criticize the shortages and complaints of modern day society. In this sense of 'Utopia' is the will of revolution consistently occurring in our consciousness at every moment, and embodies motive for the future by anticipating for the advanced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