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7대 대통령선거의 개인적 투표결정 요인과 집합적 투표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개인적 투표결정 요인으로 출신지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국가경제에 대한 회고적인 평가가 그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이외에도 한미관계에 대한 태도, 이념적 성향, 연령, 노무현 정부에 대한 평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결과의 승패를 결정하는 집합적 투표결정 요인으로는 국가경제사정에 대한 평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부업적에 대한 평가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 두 가지 합리적 변수는 이명박 후보의 승리에 70% 정도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지역주의와 세대 및 이념적 갈등은 선거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 했다. 출범 초기에 당면한 이명박 정부의 지도력의 위기는 부분적으로 선거에서 얻은 국민의 지지는 노무현 정부에 대한 처벌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새 정부에 대한 지지로 쉽게 전환될 수 없는 성격이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Using a multi-stage decision model by Miller and Shanks, this study analyzes individual and aggregate vote determinants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n the individual voting decision, regionalism shows the strongest effects, followed by evaluation of the economy, national security issues, ideological orientation, age and government performance. In the aggregate decision that decides winner of the election, evaluation of the economy, together with government performance, had decisive effects upon Lee Myung-bak's victory while regionalism and ideological orientation show only limited effects. Leadership crisis suffered by the new conservative administra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Korean people punished President Roh for his mismanagement of the economy rather than rewarding Lee for his conservative policy proposals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