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소앙과 아렌트는 식민주의와 전체주의에 잉태된 정치적 악을 체험하면서 진정한 정치를 보장하려는 의도로 혁명을 연구하게 되었다. 정치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볼 때, 이들은 공통적으로 혁명 이후 정치질서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새로운 절대자를 상정하였다. 행위론의 측면에서는 삼균의 완벽한 실현과 자유의 확립을 혁명의 목표로 상정하고 이를 실현하는 활동으로서 투쟁과 공동 활동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제도론의 관점에서는 이상적인 정치공동체를 상정하고 있다. 소앙은 삼균의 완벽한 실현 이후 출현할 수 있는 세계일가를 지향하면서도 민족을 단위로 하는 신민주국을, 아렌트는 이소노미아를 이상적인 정치공동체로 상정하면서도 정치적 삶을 현실적으로 보장하는 공공영역의 활성화를 강조하였다. 이들은 혁명이론을 통해 새로운 시작이 인간의 삶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밝혔으며,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자유와 균등의 확립을 무엇보다도 강조하였다.


While struggling with the political evils, which was brought out by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Nazi totalitarianism. So-ang and Hannah Arendt had theorized the revolution with the intentions to establish the genuine politics. In political-ontological view, Both So-ang and Arendt sought the new absolute as sources to legitimize the post-revolutionary political order. As the end of the revolution, So-ang and Arendt had respectively the complete realization of three kinds of equality(political, economic, educational) and constitution libertatis, and emphasized equally the struggle and solidarity as the political action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revolutionary end. In the institutional view they had the idealistic political communities. So-ang expected the building of the new democratic state in Korea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nd desired One World Society(世界一家), which would come out after the complete realization of the equality among individuals, nations, and states. Arendt thought the isonomia as the ideal political community, but emphasized the vitalization of the public realm. In a word, they had efforts to illustrate how important the new beginning is in political life, and emphasized the constitution of freedom and Three Equailites(三均) as the means to guarntee the human dig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