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터넷 도입기의 네티즌과 비네티즌의 사회경제적, 정치행태적 특성을 비교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삼는다. 이러한 네티즌과 비네티즌에 대한 연구는 인터넷 보급이 초기화된 시점에 가능한 것인데, 그것은 사용인구와 비사용인구가 국가별로 일정한 비율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또한 일국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네티즌과 비네티즌의 구분을 넘어서 본 연구는 비슷한 도입기의 미국과 한국 네티즌의 비교 및 네티즌과 비네티즌의 특성적 차이를 동시에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네티즌의 특성을 일반화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함은 물론 네티즌 내부의 차이와 공통점 역시 비교적 맥락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자는 비사용자에 비해 소득수준, 교육수준등의 측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네티즌 집단내부에서도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은 비정치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미국과 한국사례 비교에서도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적 특성과 관련해서는 네티즌은 비네티즌에 비해 자유주의적인 경향이 있고, 대체로 자유주의 또는 진보적 색채를 갖는 정당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네티즌 내부에서도 정치참여집단의 경우가 이러한 경향을 더욱더 두드러지게 표출하고 있음을 한국과 미국 사례에서 동시에 발견할 수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이제 모바일 사용자층으로까지 확대됨에 따라 대부분의 인구가 인터넷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사용자 내부의 분화나 다양성이 더욱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at comparing features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at the introduction period. This research is supposed to be implemented in terms of introduction period since it is important for comparative study to get proportional balance between the users and the non-users. Additional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overcome classification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by expanding spatial conditions. This research also seek to compare the Korean Internet users and American Internet users in terms of their political features and socio-economic circumstances. Thus, with the attempts, it is possible to provide empirical references in order to generalize Internet users' political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According to this research, Internet users tend to be highly educated and rich compared to non-users as well as non-political participants are tend to be highly educated and rich compared to political participants. This findings can be applied to Korean and American cases. With respect to the political features, Internet users tend to be liberal and prefer radical parties while non-users tend to be not. Moreover, among Netizens, it is founded that political participants tend to be more liberal and prefer radical parties. Internet users are more likely to be extended to mobile users. Therefore, diversity will be matter for the political effects of technology.


This research aims at comparing features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at the introduction period. This research is supposed to be implemented in terms of introduction period since it is important for comparative study to get proportional balance between the users and the non-users. Additional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overcome classification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by expanding spatial conditions. This research also seek to compare the Korean Internet users and American Internet users in terms of their political features and socio-economic circumstances. Thus, with the attempts, it is possible to provide empirical references in order to generalize Internet users' political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According to this research, Internet users tend to be highly educated and rich compared to non-users as well as non-political participants are tend to be highly educated and rich compared to political participants. This findings can be applied to Korean and American cases. With respect to the political features, Internet users tend to be liberal and prefer radical parties while non-users tend to be not. Moreover, among Netizens, it is founded that political participants tend to be more liberal and prefer radical parties. Internet users are more likely to be extended to mobile users. Therefore, diversity will be matter for the political effects of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