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북아 질서의 전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정세변화의 단초가 된 것은 김정은 체제 등장 이후 나타나고 있는 돌발적 위기 확장 행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실질적 핵무장화로 현실화되고 있는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면서 북한 변수로 인한 동북아 정세 변동의 동태성이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고에서는 핵무기 보유의 정치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연장선 속에서 동북아 국제정치질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북한의 3차 핵실험의 함의를 분석하고 그 연장선 속에서 북한의 3차 핵실험의 의미를 탐색한다. 다음으로 현재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무장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정세의 차별적 변화 양상을 성찰해볼 것이다. 특히 동북아 국제정세 형성의 가장 큰 독립변수로서 미국과 중국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안보지형의 전환 가능성에 천착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실천적 대응 노력에 주목하기로 한다.


There has been a change of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It has been caused by the fact that an unpredicted crisis has been amplified since the emergence of the Kim Jung-eun regime. In particular, the 3rd nuclear test committed by North Korea regarded as one of the nuclear haves has an effect on the dynamic situations of political change in Northeast Asia derived from the North Korean variable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explores the nature of the nuclear power influencing an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in Northeast Asia and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 3rd nuclear test initiated by North Korea. This study also looks over the nature of change in the state of affairs of the reg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in the security environment initiated by USA and China regar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ffairs in Northeast Asia. Lastly, this thesis looks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enthusiastic reactions on this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