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스포츠는 사회통합(기능주의이론)과 지배(갈등이론)의 수단이지만 또한 참여자의 정체성과 스포츠의 의미가 구성되고(상호작용이론) 지배와 저항이 교차하는 사회적 문화실천(비판이론)의 하나이다. 스포츠의 다양한 사회적 의미 중 정치적 성격은 스포츠와 집단정체성의 관계에 초점을 맞출 때 적절하게 규명되어질 수 있다. 국가와 자본은 각각의 목적을 위해 스포츠를 공급하지만 수용자인 대중의 측면에서는 집단정체성이 스포츠의 수용기제로 작동해서 집단에 따라서 다른 스포츠와 그 의미를 소비한다. 사회의 다양한 집단의 정체성이 투사된 스포츠를 통해 국가와 자본 그리고 지배층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지배하고 대중과 피지배 집단은 상징적인 저항을 시도한다. 사회적 맥락에 따라서 구성되는 스포츠의 의미는 결국 이러한 갈등과 타협의 산물이다. 스포츠와 정체성의 관계는 세계화에 의해 크게 위협을 받고 있지만 기존의 관계는 해체되기보다는 변화하면서 스포츠에 부여된 새로운 정체성과 공존할 것이다.


Sport is not only an instrument of social cohesion or domination but also a cultural practice where the identity of participants and the meaning of sport are constructed and the domination and resistance are intersected. We can properly investigate the political features among the various social meanings of sport if we place the focus on the relations between sport and identity. While the state and the capital provide sports to a society for their respective purpose, people accommodate sport on the base of group identity which gives different meanings to the sport. It is through the identity projected by various social groups to the sport that the ruling class and groups dominate a society and the ruled groups and people try to make a symbolic resistance. The meanings of sport constructed in a social context are a product of this conflict and negotiation. The actual relations between sport and identity are changing in the face of the globalization which will not totally dismantle them. As a consequence, they will coexist with new emerging identities projected to the 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