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대학생세대와 부모세대의 이념과 투표행태를 비교하고, ‘다른’ 부모세대를 가진 ‘같은’ 대학생세대의 정치사회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대학생들은 정치적 지식이 높지 않으며, 부모는 그들의 주요 대화 상대가 아니며, 그리고 정치 관련 정보는 주로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부모와 자녀들의 정치이념, 후보선택, 그리고 정당선택은 일치도가 높았다. 386세대의 대학생 자녀들은 부모와 유사하게 진보적 성향을 보이며 야당성향의 후보와 정당을 선택하고 있다. 반면, 386세대 이전 부모의 자녀들은 동일한 대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적 성향을 보이며 보수성향의 정당을 선택하고 있다. 18대 대선에서 대학생들의 후보선택에 부모들의 선호가 큰 영향을 주었으나, 후보 선택과 관련하여 갈등도 존재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통과 접촉 부족 그리고 새로운 대중매체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정은 정치사회화에서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매개체로서 작동하고 있다.


This study compares parents’ ideology and their voting behavior with their children’s ones, and explores the sameness and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political socialization among the 'same'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parents’ generation. College students with low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regard their parents not as main conversationalists, and make use of internet and cellular phone in accessing to political information. There is the high degree of accordance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terms of the political ideology, candidate choice, and party choice. The 386 generation children have progressive ideology and tend to support for the opposition candidates and opposition parties. On the other hand, the pre-386 generation children have relatively conservative ideology and tend to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Although the preference of parents had an influence on the candidate choice of their children o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the two generation groups. Although they didn't have enough time for communication, and chance to contact the advent of new media,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paper, family is working as the most important and powerful agent in children's political soci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