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PC 기반의 인터넷 환경에서 주로 연구되었던 디지털 격차 개념이 스마트폰 이용 확산으로 인해 ‘모바일 참여격차’로 전환되는 미디어 환경의 특성을 이론적․정책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른 모바일 격차의 출현은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의 접근․활용격차 뿐만 아니라 참여의 질에도 영향을 미쳐 정치사회적 혜택 구조의 불균등을 가져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형성된 새로운 불균등 구조로서 모바일 참여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선결과제들을 제시함으로써 전 국민이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정책방향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향후 모바일 참여격차는 디지털 격차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을 것이며 모바일 격차해소가 미래 사회의 중요한 정책현안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차세대 디지털 격차 지수를 개발하여 종합적인 디지털 격차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이고 있지만 단순한 격차 현황만 파악할 것이 아니라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격차 지수를 체계적으로 개발, 관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mobile divid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divide which get complicated with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smartphone, beyon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nformation divide and digital divide in PC-based Internet environment. The mobile divide affects not only the users' access to and use of information and Internet but also the quality of participation, which means that a widening mobile divide might bring inequality in political or social engagemen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o lay a foundation for supporting all Koreans to become a 'Digital Citizen' who freely uses smart devices and services by narrowing the mobile political divide. And this study presents a policy direction for narrowing the ‘mobile participation divide’ with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The mobile participation divide is expected to emerge as an important part in the digital divide and how to close the mobile divide will become a critical social issue. Although efforts are being made in Korea to develop the next-generation digital divide indexes and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current digital divide, an independent participation divide index, which reflects the nature of the mobile environment, needs to be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