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challenges Nepal is facing as it struggles to transform from insurgency to a peaceful and stable democratic society. Examining Nepal’s political constellation, the course toward structural change becomes evident, especially efforts to solve the country’s fundamental problems. There is a promising window of opportunity to institutionalize constitutional reforms, create new state institutions, and establish the rule of law and democratic pluralism. The Constituent Assembly (CA) should employ a bottom-up model of engaging citizens in the practice of democracy, but it is not certain whether the new constitution will change Nepali power dynamics or facilitate a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and consensual model of democracy that can end instability and violence. The victory of liberal democracy appears far more fragile and incomplete than many had initially expected. This is precisely what the first CA, elected in 2008 for a two year term, failed to accomplish in the repeatedly extended tenure of a total of four years. The monarchy proved ineffective, as it was an outdated feudal institution that utilized divide-and-conquer politics to keep itself in power while the state crumbled around it. Unfortunately, it was replaced by a system based on corruption and cronyism.


이 논문은 현재 네팔의 국내정치상황과 정치민주화로의 이행에 관한 과정에 대한 분석을 다루고 있다. 왕정국가에서 민주체제로의 정치체제의 이행과 이에 따른 정치적 혼란과 불안적, 그리고 이를 극복하려는 새로운 노력들은 헌법 및 제도의 개혁, 국가조직의 개선, 법치의 실현 및 민주적 다원주의들을 포함한다. 특히 의회의 기능과 조직에 대한 개혁과 변화는 시민의식을 결집시키는 “상향식” 민주화로 기능할 수 있으나 새로운 헌정질서의 확립이 반드시 네팔의 정치적 역동성을 변화시키거나 민주적헌법이 반드시 네팔의 민주화를 촉진시켜 정치적 불안정과 폭력성을 종식시킬 것이라는 점에는 회의적으로 간주한다. 왕정의 종식 후 네팔에서의 자유민주의의 성공은 실제로 예상보다 훨씬 더 큰 취약성과 불안정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곧 의회제도의 실패로 귀결될 수도 있다. 왕정체제의 비효율성과 함께 이미 분할통치를 이용하려는 구시대의 체제로 간주되고 있으며 네팔의 국가체제는 이와 함께 정치적 불안정으로 흔들리고 있다. 왕정국가의 종식은 만연한 부패와 정실주의라는 또 다른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