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피식민지를 경험했던 비서구사회에서는 근대화에 대한 논의에서 왕정(monarchy)/공화정(republic) 전환과 더불어 근대화의 자주성 여부가 중요한 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길준의 근대적 정체와 국체에 대한 사상을 그의 스승 후쿠자와 유키치와의 연관성 속에서 규명하였다. 유길준이 후쿠자와의 사상적 원류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 아님을 밝힘으로써 유길준과 조선의 근대 형성에 대한 자주성과 주체성을 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길준이 조선의 국내·국제적 현실 파악과 대안 창출을 위해 문명론, 정부의 형태, 정체, 국체 개념을 활용하는 데에는 후쿠자와의 사상을 수용하였다. 그런데 권력의 운용방법(다인정치, 소인정치), 군권의 분류(공적/사적 군권)와 강화/통제, 3단계 문명론을 3등급 개화론으로 변용한 것, 개화를 6영역으로 구분하고 “행실의 개화”를 통해 유교적 가치를 보편적 가치화 한 것은 후쿠자와의 사고체계를 답습하지 않고 창의력을 발휘한 것이다. 더욱이 약육강식의 국제질서를 부정하고 예덕(禮德)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과 적자생존의 대안으로 도리(道理)와 지력(智力)에 기초한 경쟁과 면려(勉勵)를 제안한 것은 유길준의 자주성을 보여준다. 유길준의 군민공치론은 백성들의 참여로 조선의 독립을 추구한 것이다. 그의 국체사상은 후쿠자와의 영향의 결실이라기보다 자신의 조국을 지키기 위한 대안이었다. 이런 사실은 곧 한국의 자주적 근대화론을 지지하는 하나의 논거가 될 수 있다.


In non-Western societies that have experienced colonialism, independent modernization is a major topic of debate,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from monarchy to republic.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Yu Gil-jun’s doctrine on modern polity and statehood in comparison with the doctrine of his Japanese teacher Fukuzawa Yukichi, and the finding that Yu’s doctrinal trunk is not simply descended from Fukuzawa’s ideas demonstrates the independence and subjecthood of Korean modernization. To understan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o search for a remedy for Korea, Yu borrowed from Fukuzawa’s ideas on civilization, forms of government, polity, and statehood. Notwithstanding, Yu used his own ideas as regards the operational methods of power (politics by mass people i.e. democracy, politics by minimum people i.e. oligarchy), division (public/private) and reinforcement/control of royal power, transformation of Fukuzawa’s three-stage civilization into three-grade enlightenment, and universalization of Confucian values through “enlightenment of behavior”, one of the six sectors of enlightenment. Moreover, Yu refused fisticuff international order, and instead proposed Yedeok (decorum and virtue). Plus, as an alternative to survival of the fittest, Yu proposed competition and exertion based on reason and intellectual power. Yu’s doctrine on “Monarchial-Civil Governance” searched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His doctrine on statehood also focused on protecting his fatherland, rather than the fruition of Fukuzawa’s influence. Therefore, these facts support the thesis of an independent modernization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