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장과 아비투스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학교의 장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부르디외의 장과 아비투스 이론과 관련하여 특히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재생산 이론적 관점과 교육내적 관점의 대립을 넘어서 장의 관점에서 학교의 장을 본다면 어떻게 볼 수 있는가? 둘째, 학교의 장에서 교원들의 위치와 대립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들이 추구하는 투쟁의 내기물은 무엇인가? 셋째, 경제적 이해관계나 계급적 이해관계를 넘어선 교원들의 이해관계의 특수성(일뤼지오)이란 것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이 과정에서 고찰, 논의되어야 할 많은 사례들이 있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사례를 들어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의도는 우리에게 잘 포착되지 않거나 알고 있어도 별로 중요하게 취급하지 않았던 학교의 장의 고유한 특성과 교원들의 암묵적인 의식과 성향을 드러내는 데 있어 장과 아비투스 이론의 시사점과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ow the concept of field and habitus in the theory of P. Bourdieu can be applied in the analysis of the field of the school and the habitus of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in the perspective of the field, the school can be viewed as a social field, which is different from both the Marxist view on the school as a ideological state apparatus of the reproduction theory and the traditional view on the school as a neutral institution isolated from the society. Second, the positions of the teachers are placed according to the power capital in the field of the school and the teachers' struggle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ower capital are observed. Third, there are the special(symbolic) interests of the teachers concerning education,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logics of utilitarian interests or class interests. Especially many teachers in the Korean Teachers' Union showed the disinterested sacrificing struggle for the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in the 1980's, which brought them the symbolic interests such as "true teacher". This cannot be properly understood without the concept of their educational habitus. However, it does not imply that the current teachers also have the educational habitus as before. It is not evident. One of the tasks for the further study is to exploring whether the school field is still the social space structuring the educational habitus for the teachers and what is the feature of the habitus of the current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