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연구에서 제안된 두 가지 상이한 유형의 강박사고 모델(이한주, 1999)을 임상집단에서 재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DSM-IV의 기준에 의거해 강박장애로 진단받은 22명의 외래 환자들을 대상으로 ROII를 비롯한 증상질문지를 실시하고 가장 고통스럽게 경험되는 강박사고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이후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각각의 강박사고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통제방략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환자들에게 보고된 다양한 강박사고는 자생성 강박사고와 반응성 강박사고로 신뢰롭게 구분될 수 있었고, 강박사고에 후속되는 주관적인 정서 경험의 내용, 인지적인 평가 및 통제방략의 사용에서 두 유형의 강박사고가 일관적인 차이를 지닌 것으로 나타냈다. 비교적 자생성 강박사고는 좀더 죄책감과 거부감을 유발하고 평가와 통제방략의 사용에서도 생각의 내용과 존재 자체에 초점이 맞춰지는 반면, 반응성 강박사고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이며 발생 가능한 사상을 내포한 것으로 여겨지고 평가와 통제방략의 사용에서도 생각 자체보다는 부정적인 현실상황에 집중하게 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강박사고의 내용에 따른 상이한 유형의 구분은 강박장애내의 이질적인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plicate Hanjoo Lee's previous finding of two different types of obsession, using clinical population. Twenty two OCD outpatients diagnosed on the DSM-IV basis completed the ROII and other symptom questionnaires, and were asked to report their disturbing obsessions. Then, their cognitive appraisal and control strategies against each obsession were evalua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s a result, various obsessions from OCD patients could be reliably differentiated into autogenous obsessions and reactive obsessions, and their subsequent responses in emotional experience, cognitive appraisal, and control strategies were found to be consiste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ypes of obsession. Relatively, autogenous obsessions are experienced as unacceptable and guilty, and their appraisal and control strategies bring the content and presence of thoughts themselves into focus. On the other hand, reactive obsessions are likely to be perceived as more realistic and probable to realize, and their appraisal and control strategies focus on the implicated negative external situations rather than the thoughts themselves. This differentiation of obsess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 understanding heterogeneous phenomena of O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