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신장애에 있어서 핵심적 인지변인 중 하나인 ‘재앙화 사고’를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불안취약 사고경향 척도(AT&T)'를 번안하여 신뢰도, 타당도를 살펴보고, 정상집단 1106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내적합치도 Cronbach’s α는 .92,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r=.85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이론적으로 가정하고 있는 단일요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다른 우울, 불안 평가도구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불안취약 사고경향 척도는 일반적으로 정신과 환자집단과 정상집단을 잘 변별하고 있었지만, 주요우울장애, 신체형장애, 공황장애 집단 각각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어서 특정 장애에 국한된 사고를 측정하기는 것이기 보다는 주변 사건을 부정적으로 재앙화하여 해석하는 일반적인 인지적 취약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성인/대학생, 남성/여성 집단 구분에 따라서 각각 규준을 마련하였으며,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developed Korean version of Anxious Thoughts and Tendencies scale(AT&T) to evaluate catastrophizing thoughts and took a standardization study. The normative group consisted of 1106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92 and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85. The AT&T scale was found to have theorectically assumed uni-factor structure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ther depression and anxiety measures. The AT&T scale discriminated well between age, sex matched healthy normals and psychiatric patien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sychiatric patient group(major depressive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panic disorder). From these results we can recognize that the AT&T scale represents well general cognitive vulnerability for anxious experience. Finally, we presented normative data of normal group and discusse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