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급에서 집단따돌림의 가해자와 피해자로 지명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에 대한 문제해결적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총 39명의 피험자를 치료군과 통제군으로 층화표집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문제해결적 집단상담은 총 8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기에는 가해자와 피해자 간에 친밀감을 형성하고 자신의 대인관계 양상 및 자신과 상대방의 차이를 알도록 하였으며, 중반에는 문제해결훈련을 실시하고 방어자로서 집단따돌림 상황에 처했을 때의 대처방법을 생각하도록 하였다. 후반에는 문제해결단계를 실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피해집단과 가해집단을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F값과 함께 효과크기를 제시하고 내용적 해석을 하였다. 피해집단의 경우, 치료군이 통제군에 비해 또래에 의해 피해자로 지명된 빈도와 자기보고한 피해횟수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문제상황에서 주장반응과 함께 공격적인 반응이 함께 증가하였고, 우울불안, 위축, 비행, 공격성 등 정서 및 행동문제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가해집단의 경우, 치료군이 통제군에 비해 가해자로 지명된 빈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자기보고한 가해횟수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문제상황에서 상대의 행동을 적대적으로 해석하는 경향과 철수반응이 감소한 반면 주장반응과 공격반응이 함께 증가하였다. 아울러, 우울불안, 미성숙, 비행, 공격성 등 주관적인 고통과 행동문제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roblem-solving group therapy for bullies and victims. Eight bullies and twelve victim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rough K-MPNI, and eleven bullies and eight victims in the waiting list group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The problem-solving group therapy consisted of eight sessions. The first step was to build an emotional and physical relationship with bullies and victims, to recognize the negative effects of bullying through an exclusion experience, and to create self-awareness of the students' interpersonal patterns. The focus of middle step was to train the steps of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s, while each subject was expected to think about how to cope with bullying as a defender. The last part of the program was to practice it in real-life and to train a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In victim group, the frequency nominated by peers for being bullied and the victimization frequency reported by self were decreased. Indeed,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reduced. Both assertive and aggressive response to bullying situation were increased. In bullying group, the frequency nominated by peers for bullying was decreased. In contrast, the bullying frequency reported by self and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increased. Both assertive and aggressive response to bullying situation were increased. In conclusion,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lso the further stud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