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구형모와 황순택(2001)이 California Child Q-Set의 문항을 이용하여 구성한 CCQ 자아탄력성 척도와 CCQ 자아통제 척도의 타당도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초등학교 4학년생 223명이 아동 불안 척도(RCMAS), 아동 우울 척도(CDI), 바렛 충동성 척도(BIS)를 작성하였으며, 그들의 보호자가 CCQ 자아탄력성 척도와 CCQ 자아통제 척도, 한국 아동인성 평정척도(KPRC), 단축형 코너스 평정척도(ACRS)를 작성하였다. CCQ 자아탄력성 척도와 CCQ 자아통제 척도의 구인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토하고, 두 척도와 KPRC 자아탄력성 척도(ERS) 그리고 BIS와의 상관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임상증상 측정도구들과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두 척도는 각각 자아탄력성과 자아통제 개념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CQ 자아탄력성 척도, CCQ 자아통제 척도와 KPRC-ERS, BIS 간, 그리고 두 척도와 KPRC의 임상척도들, RCMAS, CDI, ACRS 간의 상관분석 결과 양호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척도의 구인 타당도를 입증해주는 것이며, 두 척도를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construct validity of CCQ Ego Resiliency Scale(CCQ-ERS) and the CCQ Ego Control Scale(CCQ-ECS)(Ku & Hwang, 2001) for children. 223 children of 4th grade completed RCMAS, CDI, and BIS. Their parent completed CCQ-ERS, CCQ-ECS, KPRC, and ACRS. Factor structures of CCQ-ERS and CCQ-ECS and correlations of the two scales with KPRC-ERS, BIS, and several clinical scal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CCQ-ERS and CCQ-ECS was measuring the concepts of ego-resiliency and ego-control respectively. Correlational analyses of CCQ-ERS and CCQ-ECS with KPRC-ERS and BIS and with KPRC clinical scales, CDI, and ACRS prov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wo CCQ scales. These results verifi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CCQ-ERS and the CCQ-ECS and justified using two scales for children.